Re: 요즘 NMS 추세에 관해 궁금한 게 있습니다...꼭 알려주세요...
Reg. Date: March 30, 2001 By 김용수
bella wrote:>답글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네요...
>
>그런데요...
>
>HP OpenView나 SunNet Manager같은 대표적인 NMS들은 관리자가 설치해서 여러 장비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잖아요...
>이건 제가 말씀드린 NMS 구현 방법 중에 1번에 해당되는 거구요...
>이런 방법은 웹 기반이 아닌데, 웹 기반으로 가는게 요즘 추세라고 하셨던 건 어떻게 이해해야 되나요?
>
>그리구... 웹 기반의 SNMP Manager를 구현한다고 하면, Java를 사용하게될텐데, Java는 그래픽 기능이 좀 약한 면이 있지 않을까요? 또 이 외에도 어떤 단점이 있을까요?
>
>바쁘시겠지만 답글 부탁드리겠습니다.....
>
>********************************************************************
>
맞읍니다. 추세는 Web기반의 관리입니다.
하지만 추세라고 해서 무조건 Web으로 가야된다는 것은 아닙니다.
NMS의 특성상 사실 Web이 맞지 않는 곳이 꽤 많읍니다.
다음과 같은 문제 때문이죠.
NMS에 Web이 반드시 필요한가 ?
Web의 특징은 특별한 어플리케이션 없이 어디에서 든지 Network를 관리하는 거죠.
하지만 Network관리에 "어디에서" 라는것이 얼마나 필요할까요 ?
예를 들어 기간망 관리를 집에서 한다 ? 아니죠.
기간망 관리는 실제로 중앙망통제실 같은 곳에서 항상 합니다.
"어디에서"가 실제로 필요없죠.
Web의 보안 ?
Web의 "어디에서 접근가능"란 뜻에는 "누구나 접근가능"이라는 보안상의
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즉 id 와 passwd만 알면 망사업자의 네트워크
상태를 볼수 있읍니다.
Web의 속도 ?
NMS특성상 어떤 Dynamic한 액션이 필요한 경우가 있읍니다.(장애 화면등)
그래서 많이 사용하는 것이 Applet이죠. 그런데 Applet은 다운 속도
가 느리고 또한 단말의 환경에 약간의 영향을 받읍니다.
네트워크이 좋지 않으면 다운이 제대로 되지 않거나 다운되더라도
단말의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읍니다.
결론적으로
Web을 사용하느냐 마느냐는 실제로 네트워크 운용환경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어느 한쪽을 고집할것이 아니라 Web과 Application
을 적절히 사용하면 좋읍니다. 예를 들어 전체 NMS는 Application으로
하고 일부 통계보고서등은 Web으로 하는 방법등이 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