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포트 | 기술문서 | 테크-블로그 | 원샷 갤러리 | 스폰서 컨텐츠 | 네트워크/통신 뉴스 | 인터넷자료실 | 자유게시판      한국 ICT 기업 총람 |

제품 검색

|

통신 방송 통계

 
 
 
섹션 5G 4G LTE C-RAN/Fronthaul Gigabit Internet IPTV/UHD IoT SDN/NFV Wi-Fi Video Streaming KT SK Telecom LG U+ OTT Network Protocol CDN YouTube Data Center
 

2023

5G 특화망

포탈

Private 5G/이음 5G

 포탈홈

  넷매니아즈 Private 5G 분석글 (121)   5G 특화망 4가지 구축모델   산업계 5G 응용   산업분야별 5G 특화망 활용사례   • 5G 특화망 벤더: Samsung | HFR | Nokia | more
 

해외

  국가별 사설5G주파수 • 국가별 구축현황: 일본 | 독일 | 미국 | 프랑스 | 영국  • 사설5G 사업자: Verizon | AT&T | DT | Telefonica | AWS | Microsoft | NTT동일본 | NTT Com    
 

국내

  5G 특화망 뉴스 | 국내 5G 특화망 주파수 할당현황 | 국내 5G 특화망사업자 일람 | 국내 자가구축사례 일람 | 국내 2022년 특화망 실증사업사례 일람 | 5G 특화망 정책
 
 

• 5G 특화망 사업자: SK 네트웍스 서비스 | 세종 텔레콤 KT MOS | 뉴젠스 | more  • 5G 특화망 자가구축: 한국수력원자력 | 해군본부 | 한국전력공사 | more  • 이통사: KT

 
 
스폰서채널 |

 HFR의 5G 특화망 솔루션 (my5G) | HFR 5G 특화망 뉴스HFR my5G 자료

  스폰서채널 서비스란?
son@netmanias.com
총뷰수: 379,417
온라인 문의
Your email address:
To:
메시지:
121
November 2023 | By 손장우 (son@netmanias.com)
이동차량(의료버스), 카메라, 리얼햅틱스 로봇, 5G 특화망을 이용한 시골 지역 원격진료 [홋카이도 대학병원]
768
  
 0
0
   
         
 

 

의료버스 내부

 

 

[Netmanias Tech-Blog]

 

본 블로그에서는 5G 특화망의 병원 분야 활용 사례로, 

 

이동 진료차량(의료버스), 8K 카메라, 리얼햅틱스 텔레카피 로봇, 초음파 진단장치 등을 이용해 원격 진단을 수행한 일본의 이와미자와시의 사례를 살펴본다.

 

[전문읽기]

 

 
120
November 2023 | By 손장우 (son@netmanias.com)
5G 특화망 기반 낙도 등 전문의 부족 지역 대상 본토 전문의의 원격 진료 [나가사키 대학병원]
775
  
 0
0
   
         
 

 

 

[Netmanias Tech-Blog]

 

본 블로그에서는 5G 특화망의 병원 분야 활용 사례로, 

낙도 등 전문의 부족 지역 대상으로 본토 대학병원 전문의의 원격 지원을 통해 낙도 주민들에게 고도의 전문 의료를 제공해주는 사례(본토 나카시마 대학병원과 낙도 고토중앙병원의 연계)을 살펴본다. 

 

디지탈 전환 사례

① 본토 전문의의 원격지원을 통한 고도의 전문의료 제공

② 고령자 시설 원격 온라인 회진

 

[전문읽기]

 

 
119
October 2023 | By 손장우 (son@netmanias.com)
실시간 영상 공유에 의한 원격진료와 AI 영상해석기반 진단 [다카시마 시민병원]
839
  
 0
0
   
         
 

 

 

[Netmanias Tech-Blog]

 

본 블로그에서는 5G 특화망의 병원 분야 활용 사례로, 

5G특화망과 ICT기술을 활용하여 전문의의 일하는 방식을 개선하여 전문의를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지방병원의 전문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다카시마 시민병원의 사례를 살펴본다. 

 

다카시마 시민병원의 5G특화망 기반 병원 디지탈 전환 사례

① 병동 영상 전송 시스템 (전문의의 입원 환자의 상태 급변시 원격 지시, 병동으로 이동 여부 판단)

② 수술실 영상 전송 시스템 (전문의의 원격 수술 지도)

③ 대장 내시경 AI 분석

 

[전문읽기]

 

 
118
October 2023 | By 손장우 (son@netmanias.com)
5G 특화망 기반 고화질 영상 공유 시스템: 원격 지원 (수술실, 구급차)과 자율주행로봇의 환자 이동 [성 마리안나 대학병원]
918
  
 0
0
   
         
 

 

 

[Netmanias Tech-Blog]

 

본 블로그에서는 5G 특화망의 병원 분야 활용 사례로,

5G 특화망과 360o카메라, 4K 카메라, 웨어러블 카메라을 이용해 병원 관계자 (전문의, 집도의, 간호사, 응급구조사 등)간 영상공유 시스템을 구축한 일본의 성 마리안나 병원의 사례를 살펴본다.

 

성 마리안나 병원은 5G 특화망 기반 영상 공유 시스템의 도입으로 초고령화 사회 도래에 따른 전문의와 간호사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① 원격 수술 지도 (수술실)

② 자율주행로봇에 의한 환송 이송 (병원 복도)
③ 원격 의료 지원 (구급차)
④ 성 마리안나 병원이 5G 특화망을 선택한 이유

 

[전문읽기]

 

 
117
October 2023 | By 손장우 (son@netmanias.com)
5G 특화망 기반, 농업 분야 디지탈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사례 요약
826
  
 0
0
   
         
 

 

 

[Netmanias One-Shot]

 

본 One-Shot에서는 농업 분야의 5G 특화망 기반 디지탈 전환 사례를 요약해본다.

 

[전문읽기]

 

 
116
October 2023 | By 손장우 (son@netmanias.com)
산업 분야별 5G 특화망 응용 서비스 분석 (3) 농업 분야
752
  
 0
0
   
         
 

 

 

[Netmanias Report]

 

본 보고서에서는 농업 분야에 5G 특화망 (이음 5G, 로컬 5G, Private 5G)를 도입하여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 일본의 실제 구축 및 활용 사례를 살펴본다.

 

1 농업분야 5G 특화망 응용 사례 요약
2 스마트 글라스와 AI를 활용한 숙련농업기술의 시각화 [야마나시현 포도농장] 
3 고정형•주행형 4K카메라, 스마트글라스 기반 원격재배 지도 [도쿄도 농림수산진흥재단] 
4 로봇차량과 AI 기반 딸기 병해 감지•딸기숙도별 수량 파악 [후카야시 딸기 농장] 
5 무인 자율주행 농업로봇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원격감시
•조작 [가고시마현 차 농장] 
6 드론, 자율주행 트랙터, AI 기반 목장의 방목지 관리 [훗카이도 빅레드팜 목장] 
7 고정형
4K 카메라와 AI 기반의 소 기립불능 등 위험 징후 조기•자동발견 [가고시마현 소 목장] 
8 프리스톨 우사에서 가축 건강관리 작업의 효율화 [훗카이도내 프리스톨 우사]

 

[전문읽기]

 

 
115
October 2023 | By 손장우 (son@netmanias.com)
고정형•주행형 4K 카메라, 5G 특화망, AI 기반 소의 기립불능 등 위험 징후 조기•자동 발견 [가고시마현 소 목장]
683
  
 0
0
   
         
 

 

 

[Netmanias Tech-Blog]

 

소의 사육에서는 병이나 사고로 한 마리라도 폐사하면 손실이 크기 때문에(통상 1마리 출하시 가격이 1천만원 정도임), 한 마리 한 마리 상태를 세심하게 살펴보고 컨디션 불량이나 기립불능 등의 위험한 징후를 조기에 인지하고 대처하여 사망을 막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대규모 목장에서는 매일 수십개 우사내 수천마리의 소를 하나 하나 그것도 마리당 20분 정도 관찰하여 소 건강 상태를 체크하는 것은 많은 노동력(인건비)을 필요로 하며, 또 목장 직원이 실수로 발견하지 못할 수도 있다. 특히, 기립불능, 원인불명의 사망은 주로 야간에 많이 발생하는 데, 야간에는 목장 직원이 발견하지 못하거나 늦게 발견할 가능성이 주간보다 더 높다.

 

이러한 문제를 1천여대의 감시카메라, AI, 순찰로봇, 5G 특화망을 도입하여 극복한 일본 가고시마현 ㈜우시노 나카야마 소 목장의 사례를 살펴보자.

 

[전문읽기]

 

 
114
October 2023 | By 손장우 (son@netmanias.com)
드론, 자율주행 트랙터, 5G 특화망, AI 기반 목장의 방목지 관리 [훗카이도 빅레드팜 경종마 목장]
867
  
 0
0
   
         
 

 

 

[Netmanias Tech-Blog]

 

방목지는 속성상 면적이 방대하여 크게는 수만평에 이르며 목장에서는 일년 내내 많은 인력의 장시간, 고된 노동이 행해지고 있어 노동 환경 개선과 작업 효율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샤프(과제 총괄, 5G 특화망 장비 제공), 조화기연(드론카메라와 AI를 이용한 트랙터 경로 최적화 개발), 얀마(자율주행트랙터 원격제어 시스템 개발) 등은 2022년 11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약 3개월동안 일본 훗카이도내 빅레드팜 목장에 방목지 관리 시스템(무인 자율주행 트랙터의 자동 제초 및 제설)을 개발•구축했다.

 

이에 관해 지세히 살펴보자.

 

[전문읽기]

 

 
113
October 2023 | By 손장우 (son@netmanias.com)
AR 글라스, 5G 특화망, AI를 활용한 숙련농업기술의 시각화 [야마나시현 포도농장]
939
  
 0
0
   
         
 

 

 

[Netmanias Tech-Blog]

 

일본은 농업 종사자 고령화와 영농후계자 부족으로 인해 농업인구가 해마다 감소하고 있으며, 일본 포도 생산량 1위인 야마나시현의 경우에도 농업 종사자 중 65세 이상 비율이 74%에 이르러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이 심각한 상황이다(국내도 유사한 상황임).


이를 타개하기 위해, 야마나시현과 야마나시대학(AI 포도재배지원시스템 개발), NEC(로컬 5G 장비제공/구축/운영), YSK (전체 시스템 인테그레이션) 등은 스마트글라스와 AI 기반으로 농업숙련자 기술을 신규 취농자들에게 전승해주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야마나시현 과수시험장과 인근 포도농장에 구현했다.

 

이에 관해 지세히 살펴보자.

 

[전문읽기]

 

 
112
October 2023 | By 손장우 (son@netmanias.com)
무인 자율주행 농업로봇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원격감시 및 원격조작 [가고시마현 차 농장]
860
  
 0
0
   
         
 

 

 

[Netmanias Tech-Blog]

 

본 블로그에서는 5G 특화망의 농업 분야 활용 사례로, 무인자율주행 농업로봇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원격감시 및 원격조작(긴급정지, 재발진 등) 사례에 대해 알아본다.

 

[전문읽기]

 

 
비밀번호 확인
코멘트 작성시 등록하신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주세요.
비밀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