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g. Date: October 30, 2001 By 전장은
저도 정확하게는 기억나지 않습니다.
그냥 제 이야기를 참고로 삼아 자료를 찾아보세요.
1. Ethernet autosensing
Switching Hub(Ethernet switch)에 여러대의 컴퓨터나 다른 hub가 연결되어 있을 때, 포트가 자동으로 알아서 10Mbps half-duplex인지 100Mbps full-deplex인지 감지해낸다는 뜻일 겁니다. 이 기능을 diable해놓으면 수동으로 직접 10Mbps half-duplex인지 100Mbps full-deplex인지 configure할 수 있습니다. 10Mbps half-duplex로 설정된 포트와 100Mbps full-deplex로만 동작되도록 고정된 포트를 서로 케이블로 연결할 경우 vendor에 따라서 통신이 안되거나(1bit의 duration도 다를테고, 케이블 길이 제한도 다르겠죠?) 10Mbps로 동작할 겁니다.
2. Ethernet Tunneling
가령 부산지사에 Ethernet으로 LAN이 구성되어 있고, 대구지사에 Ethernet으로 LAN이 구성되어 있다면, 각각의 지사 내의 컴퓨터끼리는 CSMA/CD, ARP 등이 동작하면서 layer1,2가 연결되므로 당연히 그 위에 layer-3 IP연결이 가능하죠. 그러나 두 지사에 따로 있는 컴퓨터끼리 통신을 하려면, layer-3 스위칭을 해주는 router가 필요합니다. 사설IP망이면 그냥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에 서로의 네트웍주소와 next hop등만 추가해주거나(static routing), RIP, OSPF같은 라우팅 프로토콜을 구동시키면(dynamic routing) 통신이 가능하죠. 그러나 사설망이 아니라 공중인터넷망을 거친다면 보안과 과금 등 여러문제가 따르겠죠? 여기서 가상사설망(VPN)의 용도가 등장합니다. VPN은 상황에 따라 여러가지로 구현가능합니다. MPLS, IP tunneling, Ethernet tunneling, IP sec, VLAN...그 중에 한가지가 Ethernet tunneling입니다. 즉, 부산지사와 대구지사의 라우터에 configure해주면, 각각의 지사에서 서로에게로 가는 Ethernet frame이 WAN MTU에 맞게 쪼개져서 IP packet으로 캡슐화되어 라우팅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보통의 캡슐화는 ( WAN 프로토콜 헤더 ( IP 패킷 헤더 ( TCP/UDP 헤더 ( Application 헤더 + 데이터 )))) 와 같은 frame이 두 지사 사이에서 오가는 식인데, Ethernet tunneling을 하면 대신, ( WAN 프로토콜 헤더 ( IP 패킷 헤더 ( Ethernet 헤더 ( IP 패킷헤더 ( TCP/UDP 헤더 ( Application 헤더 + 데이터 )))))) 이런 식으로 overhead가 추가되는 것입니다. 간단하죠? 이렇게 구현된다면 부산지사의 컴퓨터가 대구지사 컴퓨터의 IP주소만 가지고 MAC주소를 알기 위해 ARP frame을 broadcast하면, 대구지사의 해당 컴퓨터가 ARP reply를 하고 하는 일들이 가능해지는 거죠.
3. Ethernet Bridging
아래에도 한번 이더넷 스위치에 대해 적었는데 bridge의 기본동작은 learning, blocking, forwarding입니다. 즉 local port에서 발생한 broadcast를 감지해서 어떤 포트에 어떤 MAC을 가진 단말이 연결되었는지를 learn해서 local port에서 특정MAC으로 향하는 frame이 발생하더라도 그 MAC의 단말이 같은 port에 연결되어 있으면 브릿지의 다른 port들로 그 frame을 forward하지 않고 block합니다. 반대로 다른 port로 가는 frame은 forward해주고요.
이런 기본적인 브릿지에 스위칭 기능을 강화시킨 것이 스위칭 허브입니다. 이더넷 스위치는 멀티포트 브릿지라고 합니다.
사실 bridging에서도 여러가지 프로토콜들이 있습니다. Source route bridging...자세한건 기억이 안나네요. Cisco의 ICRC나 ACRC교재를 보시면 브릿징 프로토콜 구현이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Ethernet 에 대해서 공부를 좀 하다가
>이런 이야기들을 자꾸 나오던데요..
>정확하게 어떤 의미인지 좀 알려주세요..부탁드립니다.
>
>1. Ethernet autosensing
>2. Ethernet Tunneling
>3. Ethernet Bridging
> 용어사전 같은 곳에서 찾아봐도 반신반의 해서요..
> 님들에게 확실한 의미를 좀 듣고 싶어서요..
>
>수고하십시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