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포트 | 기술문서 | 테크-블로그 | 원샷 갤러리 | 링크드인 | 스폰서 컨텐츠 | 네트워크/통신 뉴스 | 인터넷자료실 | 자유게시판    한국 ICT 기업 총람 |

제품 검색

|

통신 방송 통계

 
 
 
섹션 5G 4G LTE C-RAN/Fronthaul Gigabit Internet IPTV/UHD IoT SDN/NFV Wi-Fi Video Streaming KT SK Telecom LG U+ OTT Network Protocol CDN YouTube Data Center
 

2024

5G 특화망

포탈

Private 5G/이음 5G

 포탈홈

  넷매니아즈 5G특화망 분석글 (149)   5G특화망 4가지 구축모델   산업분야별 5G특화망 활용사례  5G특화망 정량적 도입효과  |  [5G 특화망 벤더Samsung | HFR | more
 

해외

  국가별 사설5G 주파수 [국가별 구축현황] 일본 | 독일 | 중국미국 | 프랑스 | 영국  [사설5G 사업자] Verizon | AT&T | DT | Telefonica | AWS | Microsoft | NTT동일본 | NTT Com    
 

국내

  5G 특화망 뉴스 | 국내 5G 특화망 구축 현황  UPDATED  | 국내 5G 특화망사업자 현황 (19개사) | 국내 자가구축사례 일람 | 국내 특화망 실증사업사례 일람 | 5G 특화망 정책
 
 

[5G 특화망 구축 사례]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 | 반월시화산단 삼성서울병원 | 롯데월드 | 한국수력원자력 | 해군본부 | 한국전력공사 | 머크 바이오센터 more  [이통사] KT

 
 
스폰서채널 |

 HFR Mobile의 5G 특화망 솔루션 (my5G)  Updated   |   뉴젠스의 5G 특화망 구축 및 운영 서비스  NEW  

  스폰서채널 서비스란?
banner
banner
Re: [질문]RTOS - Vision ICE & Vision CLICK 7.0 사용법
Reg. Date: June 14, 2000 By 유창모
답변은 **를 보십시오.
김진영 wrote:
>안녕하세요!
>유창모님이 설명해주신 Emualtor사용법에 대해서인데요.
>
>>1. VisionICE 전원을 킨다.
>>2. MPC860이 탑재된 board 전원을 킨다. 먼저 켜진 VisionICE가 MPC860을 장악하
>>게 됩니다. 즉 MPC860은 VisionICE의 명령이 있기 전에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
>>게 됩니다.
>이 순서를 지키지 않으면 무슨 문제가 있는지요? 저도 언제 부터인가 들은 풍문으로 이렇게 하고 있는데 가끔 동시에 켜거나 꺼꾸로 껴서 RESET을 하고 쓰면 별 문제가 없는 것 같았는데요...

** 최종우님께서 설명해 주셨으니 넘어가겠습니다. 사실 저 역시
VisionICE 업체 사람이 와서 "반드시" 그 순서데로 하라고 겁을 주고 가서
그 이후에는 그냥 그 순서를 지킨 것 뿐입니다. 근데 제 경험상 20번에 1번
정도는 순서를 어겼을 경우에 VisionICE와 MPC860 보드가 연결되지 않았습니다.

>
>>3. MPC860을 장악한 VisionICE는 본 장비 내부 NVRAM에 있는 MPC860 레지스터 이
>>미지를 10-pin BDM connecter를 통해서 target board로 전해서 MPC860 레지스터
>>를 초기화한다.
>
>>4. Host에 있는 최종 이미지(OUT file)를 BDM tool을 통해서 target board의 DRAM
>>으로 다운로드한다. 3번에 의해서 이미 MPC860의 Memory Controller는 초기화 되
>>었고, 이에 의해서 MPC860은 자신과 연결된 DRAM을 read/write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있으니 다운로드가 가능한 것입니다.
>단순히 연결만 하면 Memory Controller가 초기화 되는 것이 아니고 3번에서 Memory 관련 Register들을 모두 Setting을 한 후에 가능하다는 말씀인가요(UPM Table까지)

** 아닙니다. 말씀하신 "단순히 연결"을 한다는 의미는 사용자(개발자) 입장이고
장비 입장에서는 VisionICE의 전원을 키면 VisionICE가 가지고 있는 레지스터
이미지로 MPC860을 초기화하는 것이지요. 즉, 사용자가 특별히 해 줄일은
없는 것입니다. 다만, VisionSIM or VisionUtility or Click7.0의 terminal창에서
"cf grp"라고 하면 VisionICE PowerOn시에 어떤 레지스터 그룹들을 MPC860에
write할 것인지를 on/off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즉, cf grp에서
memc(memory controller), upma, upmb를 off(disable)하면 VisionICE는
MPC860의 Memory Controller, UPMA, UPMB를 초기화하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
>>5. PowerPC assembler 및 C source code에 대한 소스레벨 디버깅을 한다. 이 디버
>>깅은 Host에 EST에서 제공하는 Click 7.0이라는 프로그램이 설치 되어 있어야 가
>>능합니다.
>예 저도 visonCLICK 7.0을 사용하고 있는데 source level debugging이 잘 안돼더라구요. 제 ads.prj입니다.
>Symbol File : h:...ads8xxrom.ab
>Download File : h:...ads8xxrom.bdx
>Source Paths : h:...adsromsys;h:...adsboard;
>

** 프로젝트 파일에는 큰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source level debugging이 "잘"
안된다는 의미를 좀 더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십시오.
예를 들어서,
1. ab, bdx 파일이 다운로드가 안되나요?
2. 다운로드 후에 source path에 있는 코드가 안보이나요?
(프로젝트 파일의 Reset Symble 엔트리에 적혀 있는 심볼이 프로그램 전체의
entry point(시작점)가 되며, 다운로드 후에 본 심볼이 보여야 합니다.
제가 올린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startup"이 되겠지요)
3. step by step이 안되나요?
4. break point가 안되나요?
5. C에서 정의한 변수들이 안보이나요?

현재 VisionICE는 (주)엔엘텔레콤에서 판매하고 있으며 장비 관련 메뉴얼이나
장비 사용 문제는 민동기님이 도와 주실 수도 있을 것입니다.
(주)엔엘텔레콤 (www.nltelecom.com)
민동기 대리
TEL: 525-9080

>
>
>질문1. 바보스런 질문일것 같기도 한데 ROM에 들어있는 Code를 source level debugging할 수 없나요?

** 절대로 바보스런 질문이 아닙니다. 아시겠지만 VisionICE/Click7.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EST에서 제공하는 convert.exe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본 툴을 이용하여, RAM에 다운로드 하기 위해서는 .BDX, .AB를 생성하고
ROM에 fusing하기 위해서는 .BIN을 생성합니다.
.BDX와 .BIN은 각각 RAM과 ROM에 위치할 순수 프로그램 이미지(.text, .data
section들의 모임)이며 .AB는 Click7.0이 source level debugging을 하는데
사용하는 심볼 파일입니다.
결국 ROM에 있는 코드를 source level debugging하기 위해서는 -c
option을 주어 .BIN 이외에 .AB를 생성하면 될 것입니다.
(근데 저도 이렇게 해보지는 않았습니다. ROM에서 도는 코드를 source level
debugging하면 너무 너무 느리거든요)

>
>질문2. 혹시 참고할 만한 자료(visionCLICK) 있으면 좀 추천해주세요.이상하게 Help를 봐도 잘 안들어 오더라구요.www.ests.com에도 별루 Data가 없는 것 같구...

** VisionICE/Clock7.0을 구매하시면 관련 메뉴얼이 따라 오는데요...
물론 없으시니까 이런 질문을 하신 거겠지요. 앞에서 말씀드린 (주)엔엘텔레콤에
민동기님께 한번 물어 보십시오. 저는 가진게 없답니다.

>
>질문3. 유창모님이 올려놓은 mpc860programming source를 보았는데 src아래 여러이름이 있더라구요.차이점이 뭔지 좀 알려주세요.

** 제가 필요 없는 파일까지 올려 놓았네요. src 밑에 mpu 것만 보시면 됩니다.
mpu, atur, cama는 보드 이름들이며 약간씩 하드웨어 구성이 다릅니다.
또한 "for gnu"는 처음 작업을 PowerPC용 GNU toolchain을 이용해서 하다가
Diab compiler로 바꾸면서 생긴 이전 작업 파일들입니다.
문서도 mpu를 기준으로 쓰여 있으며 프로그램 완성도 역시 MPU가 제일 낳을
것으므로 mpu만 보십시오.

>
>질문4. 전 Flash Erase/Write 할 때 Memory영역은 MPC860CPU 내부 Dual-Port RAM의 Reserved된 영역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괜찮은 방법아닌가요?

** 무지 무지 좋은 방법입니다 !!! 한수 가르쳐 주셔서 감사합니다.

>
> 전 처음으로 일반 BootLoader를(pSOS pROBE ROM 만드는 건 좀 해봤지만요)만들고 있습니다. Linux Kernel을 DRAM에 옮겨주는 역할을 할 놈이죠... 어제 드뎌 Serial이 살았습니다. 근데 DRAM에 Downloading(일단 pSOS용 ADS BSP를 올려서 돌려놓고 sct copy했습니다.그냥은 안돼더라구요)했을때랑 Flash로 구웠을 때랑 좀 현상이 다르더라구요! 저도 빨랑 Linux Porting해서 멋진 문서를 하나 만들어서 올려놓고 싶네요.

** Embedded Linux를 하신다니 "무지하게" 기대가 됩니다. 지금 당장은
안되겠지만 앞으로를 위해서 저도 조금씩 준비하려 합니다.
제가 해보았던 것은 RTEMS Boot Loader 개발이었으며, ethernet을 통해
TFTP를 이용하여 OS+Application image를 RAM으로 다운로드 받게 하였습니다.
그 작업 당시에 Link Command file 때문에 무지하게 고생했던 기억이 납니다.
건투를 빕니다.

>
> 너무 장황했나요! 수고하세요.

** "장황"했습니다 -.-; 답변 쓰는데 1시간은 걸린 거 같네요 :-)
Thank you for visiting Netmanias! Please leave your comment if you have a question or suggestion.

 

     
         
     

 

     
     

넷매니아즈 회원 가입 하기

2020년 1월 현재 넷매니아즈 회원은 47,000+분입니다.

 

넷매니아즈 회원 가입을 하시면,

► 넷매니아즈 신규 컨텐츠 발행 소식 등의 정보를 이메일 뉴스레터로

   발송해드립니다.

► 넷매니아즈의 모든 컨텐츠를 pdf 파일로 다운로드받으실 수 있습니다. 

     
     

 

     
         
     

 

비밀번호 확인
코멘트 작성시 등록하신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주세요.
비밀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