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질문> 디폴트 라우트를 공부하다가..
Reg. Date: September 05, 2002 By 최홍준
ip default-network command는 다른 default 설정(0.0.0.0과 ip default-gateway)과는 조금 다르게 동작을 합니다.
다른 default 설정은 모두 정적으로 동작을 하는 반면에, ip default-network은 정적/동적으로 할당을 할 수가 있습니다.
밑에 님이 예를 들은 경우는 10.0.0.0이라는 static routing을 설정을 한 후, 해당 인터페이스를 ip default-network 10.0.0.0이라고 설정한 경우 인데...
이렇게 하면 routing table에 자동적으로 s0(IP) via 10.0.0.0 이라는 것이 추가가 됩니다.
그리고 default gateway를 이 network으로 자동적으로 잡게 됩니다.
이렇게 하면 이점이 있겠죠..
network의 topology가 바뀌더라도 default gateway를 정적으로 추가할 필요가 없으니깐요..
허위 네트웍이라는 것은 저도 언뜻 이해가 가지가 않는데요..
제가 생각하기로는
일반적으로 static route 를 이용하여 default gateway를 설정할 경우, nexthop일 경우만 설정이 가능한데..ip default-network command는 꼭 next hop이 아니더라도 해당 network을 default gateway로 설정을 할 수가 있어서 허위 네트웍(?)을 설정할 수 있다고 하지 않을까 싶네요.
ip default-network command는 몇가지 제약이 있는데..
classful routing이라는 것.
RIP는 RIP protocol로 베워오지 않은 routing 정보는 advertisement하지 않는다는 것 정도 되겠네요..
그럼..
>디폴트 라우팅에 대해 공부를 하면서 궁금하네여...
>디폴트 라우터는 왜 설정을 해주나여?
>
>ip default-network 라는 명령어를 써가면서 Rip & Igrp를 사용하는데
>디폴트 라우터로 설정된 라우터가 패킷이 도착하면 정적 라우터에 따라 ISP로 전달될수 있고 허위 네트워크(boous network)를 설정할수 있다고 하는데
>이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여....
>
>예를 들자면,(0.0.0.0 은 허위 네트워크)
>
>ip route 10.0.0.0 255.0.0.0 s0
>ip default-network 10.0.0.0
>igrp 364
>redistribute static
>ex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