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g. Date: September 06, 2002 By 이경은
아마도 QoS 관련된 글에서 보신 듯 싶어 그와 관련지어 설명을 하자면 QoS를
1. Best-effort Service
2. Integrated Service
3. Differentiated Service
의 세 가지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위에서 설명해 주신대로 네트워크 상에서 아무런 것도 보장해 주지 못하기 때문에 reliability나 delay, throughput 등을 보장받지 못한 채 그냥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에 반해 integrated service는 특정 signaling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이전에 특정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으로 RSVP가 여기에 관련된 것 중 하나입니다.(저도 사실 RSVP에 대한 자세한 것은 알지 못합니다.)
그리고 differentiated service는 integrated service 처럼 특정 QoS 특징들을 필요로 하지만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특정 signaling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단지 라우터와 같은 장비의 설정에 따라서 QoS를 보장받게 됩니다.
int-serv와 diff-serv와는 달리 아무런 요구조건이 없는 default 서비스를 best-effort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물어보신대로 QoS를 거의 적용하지 않는다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
저도 대충 아는 것이라서요, 그냥 참고만 해 주세요.
>>best-effort 라는게 무슨말이죠?
>>문서들을 보면 최선을 다한다..뭐 이렇게 해석을 해놓고 의미도 그런것
>>처럼 되어있는데, N/W 에서 QoS 를 위해 최선을 다한다니.....
>>도대체 이해가 안되는 문구 입니다. 다른 QoS 중에서 default 처럼 쓰이
>>는것 같기도 하고, 최소한의 N/W traffic 을 보장한다는 말인지? 속도를
>>최소한으로 맞추겠다는것인지...최소한이란 얘기라면 QoS 품질중
>>제일 안좋은거 아닌가 싶습니다.
>>어떻게 해석해야 옳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