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g. Date: October 28, 2002 By 최홍준
GRE에 대해서 추천할 만한 자료는 RFC 빼고는 그렇게 많이 없습니다.(제가 알기론..-_-;)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GRE란 프로토콜 자체가 그렇게 어려운 프로토콜이 아니라서 그렇지 않나 싶네요..^^
Tunneling Protocol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GRE, Ip in IP, L2TP, L2F, PPTP등이 있습니다.
그중 가장 많이 쓰이는것이 GRE라는 Protocol입니다.
제가 보기엔 IP in IP가 가장 load가 적게 걸릴것 같은데..일단 GRE가 먼저 나온 tunneling protocol이기 때문에 GRE를 가장 많이 접할 수 있습니다.
쓰신 내용중에 다른 network layer에서도 사용가능하다고 하셨는데..
사실 GRE등의 Tunneling protocol이 나온 이유이기도 합니다.
IPX나 appeltalk과 같은 protocol이 서로 떨어진 network을 이루고 있고 중간에 IP를 거쳐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면 이를 GRE가 encapsulation을 하여서 IP로 실어 나르게 됩니다.
순서는
IP+GRE header+IPX(Appletalk)과 같은 구성을 하게 됩니다.
어느 정도까지 알고 싶은지는 모르겠지만 기본적인 개념은 위와 같습니다.
물런 추가해서 GRE sequence나 Key 값등을 설정 할수는 있지만 이는 optional한 내용입니다.
수고하십시요.
>안녕하세요.. GRE에 대해서 알고 싶어서 이렇게 글 올립니다..
>
>관련 내용이나 자료 추천 좀 해주세요.. 부탁드립니다.
>
>제가 아는 내용이라곤 encapsulation 방법중에 다른 네트웤 레이어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건데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