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질문] FIB route가 뜻하는것이 무엇인지요.?
Reg. Date: November 05, 2002 By 최홍준
제가 경험(?)하기로는 Zebra에 FIB라는 field는 있지만 사용은 하지 않습니다.
정확히 말씀 드리자면 사용을 하지 못한다(?)고 해야 할까요.
FIB는 Fowarding Information Base의 약자 입니다. 이게 표준으로 사용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제 경험으로 Juniper난 Cisco Ericsson Router등에서는 사용을 하더군요.
FIB와 Routing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라우터는 Routing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를 라우팅 테이블에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그렇지는 않습니다.
L3 Switch에서는 Fdb라는 것이 있듯이 Router에서는 FIB라는 것을 사용합니다.
FIB는 Switching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어서 자기가 가지고 있는 Routing 정보에 대해서 Nexthop이 아니라 Next Interface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Routing보다 좀더 빠르게 packet을 forwarding을 할 수 있습니다.
Routing은 이러한 FIB값중 Best path만 lookup하게 됩니다.
시스코에서는 FIB정보를 CEF라는 기술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MPLS에서는 FIB라는 것이 좀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실제로 Routing보다는 fowarding의 개념이 들어 가 있는 것이 MPLS 이기 때문이죠.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Module형 Router가 필요 합니다 . 왜냐하면 인터페이스마다 Memory와 CPU가 필요하기 때문이죠. 그런 이유로 Zebra에서는 사용할수 가 없다고 말씀 드렸던 겁니다.
그럼..
>안녕하세요 이두희라고 합니다.
>
>zebra에서 routing table을 보면 FIB route라는 것이 있는데 무엇을 뜻하는것이지 잘 모르겠습니다.
>
>zebra에서 라우팅 테이블을 보면 FIB route가 나오는데
>의미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
>ELEX-8260(A)> show ip route
>Codes: K - kernel route, C - connected, S - static, R - RIP, O - OSPF,
> B - BGP, * - FIB route.
>
>C* 127.0.0.0/8 lo (1) direct
>C* 192.168.1.0/24 eth0 (3) direct
>C* 192.168.2.0/24 eth1 (4) direct
>R* 192.168.3.0/24 [120/2] eth0 (3) 192.168.1.52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