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유선전화망(PSTN)에서는 MAC기능을 사용하지 않는이유좀 가르쳐 주세요~@
Reg. Date: July 04, 2003 By 박종우
>LAN과는 달리 구리선을 사용하여 접속되는 유선전화망(PSTN)에서 MAC(medium access control)기능을 상요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좀 갈쳐주세요~@
LAN과 PSTN은 그 태생이 달라서 그렇습니다.
통신의 역사는 벨이 발명한 전화기로부터 유래했습니다.
전화기가 발명된 후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집에 설치된 전화기를 서로
전기선으로 연결해야 했습니다.
초기에는 전화기와 전화기를 직접 구리선으로 연결하는 것이었습니다.
전용전화처럼 전화기에 달린 손잡이를 빨리 돌리면 상대편 전화기에 벨이
울리고 상대방이 수화기를 들면 서로 통화를 하는 방식이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한계가 있었죠....
1:1 전용전화가 아니라 원하는 누구와도 통화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의 구축이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한 지역의 전화기로
부터 구리선을 한 곳으로 끌어서 집중시킨 교환대였습니다.
교환원들이 교환대에 앉아서 원하는 집과 회선을 연결시켜 주는 수동 교환방식
이었습니다.
이어 이를 대신하는 기계식교환기가 발명되고 그 후에 전자식 교환기가 등장했습니다. 전자식 교환기는 컴퓨팅 시스템으로 구현되었습니다.
전자식 교환기가 등장하던 시기에 이미 디지탈 통신방식이 적용되고 있었고
이 디지탈 통신방식은 데이터통신망이 본격적으로 등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습니다. LAN은 이렇게 후에 등장하는 데이터 통신망 방식 중
하나였습니다. X.25나 Frame Relay 등이 데이터 통신망이었습니다.
이렇게 통신의 원조였던 전화망은 1:1 통신을 기반으로 합니다.
그래서 처음부터 스위칭 개념을 구현한 교환대, 기계식 교환기, 전자식 교환기
로 발전해 왔습니다. 교환기는 통신을 하기 위한 2개의 전화회선을 필요한
시간동안 1:1 통신경로로 자동으로 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전화통신은 원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교환기가 해당 전화기로
연결되는 회선경로를 구성하여 상대 전화기로 경로구성을 한 후 원하는
시간동안 전용통화 회선을 사용하여 1:1 통신을 합니다. 초기에 하나의
전화선으로 2대의 전화기를 직접 연결한 형태가 통화시간 동안 구성되어
유지되는 것입니다.
음성전화는 상대방과 약 3분정도는 지속적으로 통화를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이에 비해 컴퓨터는 단속적인 데이터를 주고 받습니다.
짧은 시간동안 데이터를 송출하면 됩니다. 즉, 통신의 성격이 상이합니다.
그래서 컴퓨터에서는 MAC 방식을 사용한 LAN과 같은 매체가 적합하지만
음성전화망(PSTN)은 통화시간 동안 배타적으로 통화상대방과 하나의 통화채널을
(한시적이지만)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통화에 필요한 시간은 평균 약 3분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평균 3분 동안은 하나의 연결채널을
통화 당사자가 전용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컴퓨터는 약간의 지연이 발생해도 처리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지만 전화통신에서
지연이 발생하면 음성이 인식할 수 없는 형태로 찌그러지게 됩니다.
MAC 방식을 전화에 (VoIP 등의 형태가 아닌) 그대로 적용하면 음성전화 품질이
상당히 악화되어 음성통신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