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Ethernet에서의 slot time에 대해서..
Reg. Date: December 25, 2000 By 서승우
이준협 wrote:>Ethernet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는데,
>slot time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개념을 확립하지
>못하고 있어요.
>구체적으로 알고 싶으니,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거의 이곳에서 도움만 받다가 약간의 도움을 드리게 되는군요.
이더넷에서는 기본적으로 CSMA/CD 방식에 의해 운용되는건
아시죠.구체적으로는 1-Persistent with truncated binary-backoff
Algorithm에 의해 운용됩니다.
즉 순서를 보면.
1. 터미널이 전송매체의 사용여부를 확인하여 다른 터미널이 매체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바로 전송을 시작하죠.이게 1-persistent입니다.
2. 충돌을 탐지하게 되면 임의시간 동안 대기한다음 재전송을
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하지는 방식이 truncated binary-backoff방식입니다.
이때 충돌을 감지하는 방법은 10base-2나 10base-5같은 버스 방식에서는
최대 전송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 감지되면 충돌이 일어났다고 판단하구요.
10-base-T와 같은 star 방식에서는 허브에서 두개의 포트에서 동시에 데이터 시그널이 감시될 경우 충돌이라고 판단합니다. 이때 아마 collision presense signal을 보낼 겁니다.
3. truncated binary-backoff 방식은 충돌이 발생할때마다 평균적으로 대기하는 슬롯 갯수를 늘려가는 방법입니다. 구체적인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습니다.
3.1 0 ~ 2ⁿ 사이에 균등 분포된 랜덤 숫자 r을 구한다. n은 재시도 횟수인데 n가 10이 넘으면 r은 0~2의10승(이게 truncated) 사이의 균등 분포된 랜덤 숫자로 한다.
3.2 r slots(slot : 512 bit interval)만큼 지연 후 재전송한다.
3.3 n이 15가 넘으면 재시도를 포기하고 상위계층에 에러를 보고 한다
이때 대기시간의 단위로 사용되는 것이 slot time입니다.
slot time인 일반적으로 collision을 감지하기 위한
round trip delay과 관계있는 값입니다.
Fast Ethernet까지는 slot time 512bit이고 Gigabit Ethernet으로 가면서
slot time이 512Byte로 늘어났습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