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포트 | 기술문서 | 테크-블로그 | 원샷 갤러리 | 링크드인 | 스폰서 컨텐츠 | 네트워크/통신 뉴스 | 인터넷자료실 | 자유게시판    한국 ICT 기업 총람 |

제품 검색

|

통신 방송 통계

 
 
 
섹션 5G 4G LTE C-RAN/Fronthaul Gigabit Internet IPTV/UHD IoT SDN/NFV Wi-Fi Video Streaming KT SK Telecom LG U+ OTT Network Protocol CDN YouTube Data Center
 

2023

5G 특화망

포탈

Private 5G/이음 5G

 포탈홈

  넷매니아즈 5G 특화망 분석글 (128)   5G 특화망 4가지 구축모델   산업계 5G 응용   산업분야별 5G 특화망 활용사례  [5G 특화망 벤더Samsung | HFR | Nokia | more
 

해외

  국가별 사설5G 주파수 [국가별 구축현황] 일본 | 독일 | 미국 | 프랑스 | 영국  [사설5G 사업자] Verizon | AT&T | DT | Telefonica | AWS | Microsoft | NTT동일본 | NTT Com    
 

국내

  5G 특화망 뉴스 | 국내 5G 특화망 구축 현황 | 국내 5G 특화망사업자 현황 (19개사) | 국내 자가구축사례 일람 | 국내 특화망 실증사업사례 일람 | 5G 특화망 정책
 
 

[5G 특화망 구축 사례]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 | 반월시화산단 삼성서울병원 | 롯데월드 | 한국수력원자력 | 해군본부 | 한국전력공사 | more  [이통사] KT

 
 
스폰서채널 |

 • HFR의 5G 특화망 솔루션 (my5G)  Updated   |   뉴젠스의 5G 특화망 구축 및 운영 서비스  NEW  

  스폰서채널 서비스란?
banner
banner
방통 융합 서비스 동향 분석
June 06, 2010 | By KBS
코멘트 (0)
4

KBS 기술연구소에서 작성한 자료이며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PART Ⅰ. 방통융합 환경 변화와 정책 PART Ⅱ. 국내외 IPTV 동향 및 분석 PART Ⅲ. 케이블TV의 동향 및 분석 PART Ⅳ. OTT 서비스의 동향 및 분석 PART Ⅴ. 융합 서비스 및 수익 모델의 동향 및 분석 PART Ⅵ. 무선부문의 동향 및 분석 PART Ⅶ. 새로운 기술의 등장과 접목

Thank you for visiting Netmanias! Please leave your comment if you have a question or suggestion.
Transcript
3
Contents
요약문 ··········································································ⅰ
PART Ⅰ. 방통융합 환경 변화와 정책
1. 미디어 경쟁 구도의 변화 ···· ·························································3
1.1 통합 KT의 탄생 ·····································································3
1.2. SKT의 전략 ··········································································5
1.3. 글로벌 미디어 그룹 육성 ······················································6
1.4. 거대 케이블 그룹의 탄생 ······················································7
1.5. 미디어법 논란 ······································································8
2. 디지털 전환 ··············································································10
2.1. 한국의 디지털 전환 추진 ····················································10
2.2. 무료 다채널 지상파TV 서비스 시도 ···································11
2.3. 미국의 디지털 전환 실시 ····················································14
2.4. 일본의 디지털 전환에서의 케이블TV의 역할 ·························16
2.5. 영국과 미국의 ASO 이후의 주파수 정책 ···· ··························17
3. 트래픽 관리 정책 ······································································19
3.1. 사업자의 트래픽 관리 정책 ·················································19
3.2. 인터넷 종량제 시도 ····························································22
3.3. OTT 서비스와 종량제 ·························································24
4. 콘텐츠 보호 문제 ······································································25
4.1. YouTube의 저작권 침해 문제 ··············································25
4.2. 원격 서비스에 대한 적법성 논란 ·········································26
4.3. 한국에서의 불법 콘텐츠와의 전쟁 ········································26
4.4. 지상파 i3사의 콘텐츠 통합 사이트 개설 ······························28
4.5. 구미 각국에서의 불법 콘텐츠와의 전쟁 ································29
4.6. 프랑스에서의 삼진아웃법 혼선 ·············································31
4.7. 정부의 인터넷 삼진아웃제 추진 ···········································32
4.8. 저작권 보호 노력에 대한 인정 ············································34
4.9. NHK의 색다른 선택 ····························································35
5. 망중립성 이슈 ···········································································36
5.1. 유럽에서의 망중립성 논란 ···················································36
59
5.2. 미국에서의 망중립성 논란 ···················································36
5.3. FCC의 망중립성 정책과 찬반 갈등 ······································38
6. 소비자 니즈와 동향 ···································································44
6.1. 한국의 미디어 소비 동향 ····················································44
6.2. 유료방송에 대한 소비자 성향 ··············································46
6.3. 미국의 미디어 소비 동향 ····················································47
6.4. 양방향서비스에 대한 니즈 ···················································51
6.5. 소셜미디어의 역할 ······························································52
6.6. 콘텐츠 이동성에 대한 니즈 ·················································53
6.7. 시청률조사 방식의 변화 ······················································55
PART Ⅱ. 국내외 IPTV 동향 및 분석
1. IPTV 정책 및 전략 ····································································59
1.1. IPTV 활성화를 위한 관련법 개정 ·········································60
1.2. IPTV 투자 ···········································································63
1.3. IPTV 사업자의 인터넷 속도 경쟁 ·········································65
1.4. IPTV 공공서비스 확대 ···· ·····················································66
2. IPTV 실적과 분석 ······································································67
2.1. IPTV 가입자 추세 ·······························································67
2.2. 초기 실적 부진과 분석 ·······················································68
2.3. 실적 개선 노력 ···································································69
2.4. 9개월에 100만, 15개월에 200만 돌파 ··································72
2.5. LG데이콤의 약진 ································································74
3. IPTV 경쟁과 갈등 ······································································75
3.1. IPTV 서비스 가격 경쟁 ·······················································75
3.2. IPTV 필수 설비 갈등 ···· ······················································77
3.3. 지상파방송사와의 갈등 ························································79
3.4. TV포털 운영권 갈등 ····························································81
3.5. 다양한 콘텐츠 확보 ····························································83
3.6. IPTV 비용 절감을 위한 기술 ···············································85
3.7. 국내의 IPTV 기술 전략 ·······················································86
3.8. IPTV 품질 평가 ·································································89
3.9. 인터넷포털 사업자의 시각 ···················································90
4. IPTV 이슈 ·················································································91
-
141
4.1. 성장 동력으로서의 가능성 ···················································91
4.2. 활성화 조건 ········································································92
4.3. 낙관론 ················································································93
4.4. 비관론 ················································································96
4.5. 소비자 반응과 서비스 만족도 ··············································96
4.6. 서비스 차별화 문제 ····························································99
4.7. IPTV 개방형 플랫폼 문제 ··················································100
4.8. IPTV 표준화 문제 ·····························································102
4.9. IPTV 보안 문제 ·································································104
4.10. 모바일 IPTV ··································································105
5. IPTV 서비스 모델의 진화 ·························································108
5.1. Hybrid TV ·········································································108
5.2. Google의 IPTV/VOD 서비스 가능성 ···································111
5.3. IPTV에서의 전자상거래 서비스 사례 ··································112
5.4. Twitter TV 시도 ································································114
5.5. IPTV 개방형 플랫폼 사례 ··················································115
5.6. 기타 서비스 모델 ······························································117
6. 해외 IPTV 동향 ·······································································118
6.1. IPTV 시장 전망 ·································································118
6.2. IPTV 보급 실적 ·································································121
6.3. AT&T의 동향 ·····································································123
6.4. Verizon의 동향 ··································································126
6.5. 케이블방송사업자의 IPTV 서비스 시도 ·······························131
6.6. IPTV에 대한 긍정론 ··························································131
6.7. TPS 전략에 대한 논란 ······················································134
6.8. Personal TV 서비스 시도 ··················································137
PART Ⅲ. 케이블TV의 동향 및 분석
1. 케이블TV의 국내 동향 ······························································141
1.1. 케이블TV의 위기의식 ·························································141
1.2. IPTV 지원 정책에 대한 대응 ·············································142
1.3. 지상파방송사와의 갈등 ······················································143
1.4. 위성방송과의 갈등 ····························································145
1.5. 방통위 케이블 정책과의 갈등 ············································146
181
1.6. 디지털 전환 노력과 실적 ···················································147
1.7. 디지털케이블TV의 DCAS ···················································149
1.8. 케이블의 초고속인터넷 속도 개선 ······································150
2. TV Everywhere 서비스 ·····························································150
2.1. Cord-cutting 영향에 대한 논란 ··········································150
2.2. TV Everywhere의 출발 ······················································152
2.3. TV Everywhere 서비스에의 참여 ········································154
2.4. TV Everywhere 서비스의 이슈 ···········································155
2.5. TV Everywhere 서비스에 대한 신중론 ································156
2.6. TV Everywhere 서비스의 유료화 움직임 ····························158
3. 그 외의 융합 서비스 사례 ···· ···················································160
3.1. OTT 셋톱박스와 케이블방송사업자의 대응 ·························160
3.2. Web-to-TV 시도 ································································161
3.3. OTT 사업자와의 제휴 필요성 ············································164
3.4. 케이블TV에서의 VOD 서비스 ·············································165
3.5. Caller ID 및 VoIP 서비스와 TV의 접목 ······························167
3.6. 케이블방송사업자의 무선서비스 ·········································169
3.7. 휴대폰을 이용한 케이블TV의 원격녹화 서비스 ····················170
4. 케이블TV 기술의 발전 ······························································171
4.1. 케이블TV에서의 양방향 서비스 기술 ··································171
4.2. 검색 기술과의 접목 ···························································174
4.3. 케이블TV의 SDV 기술 접목 ···············································175
4.4. 케이블 인터넷의 트래픽 관리 ············································177
PART Ⅳ. OTT 서비스의 동향 및 분석
1. YouTube 서비스 ······································································181
1.1. YouTube의 콘텐츠 전략 변화 ············································181
1.2. YouTube XL 서비스 ··························································182
1.3. YouTube의 스포츠 중계 방송 진출 ····································185
1.4. YouTube의 TV 프로그램 유료 서비스 시도 ························186
1.5. YouTube의 수익모델 발굴 노력 ·········································188
2. Hulu 서비스 ············································································189
2.1. Hulu의 약진 ······································································189
2.2. Hulu의 유료화 추진 ··························································191
-
방통융합서비스 동향분석
KBS 방송기술연구 2010-① 󰠾 5
2.3. Hulu의 수익모델에 대한 인식 ············································193
2.4. Hulu의 유료화 시, 영향 및 과제 ········································194
3. BBC의 온라인 미디어 전략 ······················································195
3.1. BBC의 Project Kangaroo 포기 ··········································195
3.2. BBC의 Project Canvas 시도 ·············································196
3.3. BT의 BBC iPlayer 서비스에 대한 문제 제기 ······················198
3.4. BBC의 모바일TV 진출 시도 ··············································200
4. OTT 서비스 경쟁과 새로운 시도 ··············································202
4.1. 미국에서의 OTT서비스 경쟁 ··············································202
4.2. Joost의 새로운 시도와 절망 ··············································206
4.3. 판도라TV의 UCC 수익 모델 및 HD서비스 시도 ·················207
4.4. ZillionTV OTT 서비스와 IPTV에의 활용 ······························209
4.5. Yahoo의 변신 시도 ···························································211
4.6. AppStore 구축 활발 ··························································212
4.7. 인터넷 동영상의 HD화 노력 ··············································213
4.8. 인터넷 동영상 검색 기술 ···················································215
4.9. 인터넷 생방송과 CDN ·······················································216
4.10. Hybrid OTT 서비스 ·························································218
5. OTT 서비스에 대한 분석 ·························································219
5.1.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 기반 ···············································219
5.2. OTT 서비스 이용 현황 ······················································221
6. OTT 서비스의 수익 논란 ·························································224
6.1. OTT 서비스에 대한 긍정론 ················································224
6.2. OTT 서비스의 수익모델 논란 ············································226
6.3. OTT와 지상파방송을 연계한 수익모델 ······························229
6.4. 인터넷동영상 호스팅 비용의 압박 ······································231
6.5. 인터넷동영상 서비스의 위기 ··············································233
239 PART Ⅴ. 융합 서비스 및 수익 모델의 동향 및 분석
1. 지상파방송의 융합서비스 모델 시도 ·········································239
1.1. DMB에서의 방통융합 서비스 시도 ·····································239
1.2. 일본 지상파방송사들의 온라인 서비스 활용 ·······················240
1.3. NHK의 융합서비스 시도, NOD ··········································245
1.4. DTV와 인터넷의 융합서비스 시도 ······································249
6 󰠾 KBS 방송기술연구 2010-①
2. 다양한 융합 서비스모델의 시도 ················································250
2.1. SlingBox의 활용 ·······························································250
2.2. 휴대폰에서의 융합 서비스 시도 ·········································252
2.3. 휴대폰 정보서비스와 방송의 융합 사례 ······························254
2.4. 일본 acTVila 동향 ·····························································257
2.5. 가상세계 TV 등장 ·····························································259
3. 수익 모델 사례 ········································································259
3.1. AppStore에 대한 논란 ·······················································259
3.2. UCC 수익모델 발굴 노력 ··················································260
3.3. 인터넷뉴스의 유료화 움직임 ··············································261
3.4. 양방향 광고 ······································································262
3.5 LBS 모바일 광고 사례 ·······················································265
269 PART Ⅵ. 무선부문의 동향 및 분석
1. 무선 트래픽과 정책 ·································································269
1.1. 방통위의 망고도화 정책 ····················································269
1.2. 무선트래픽 전망 ································································270
1.3. 모바일 트래픽 문제의 해결 방안 ·······································274
1.4. 모바일 CDN의 필요성 ·····················································276
2. 무선 및 모바일 기술 동향 ·······················································277
2.1. 한국의 DMB 동향 ·····························································277
2.2. 미국에서의 모바일TV ·························································280
2.3. 주문형 모바일TV 등장 ·······················································284
2.4. 유럽의 모바일TV 동향 ·······················································285
2.5. 일본의 모바일TV 동향 ·······················································287
2.6. WiFi 관련 기술 ·································································289
2.7. Femtocell의 활용 ······························································292
2.8. 4G에서 동영상서비스가 킬러앱 ··········································293
방통융합서비스 동향분석
KBS 방송기술연구 2010-① 󰠾 7
297 PART Ⅶ. 새로운 기술의 등장과 접목
1. Connected TV로의 발전 ··························································297
1.1. Connected TV에 대한 니즈 ···············································297
1.2. 영상가전 업체들의 다양한 활성화 노력 ······························299
1.3. Adobe의 Flash 확대 전략 ·················································301
1.4. Connected TV 시장 전망 ··················································304
1.5. Connected TV에서의 융합 사례 ·········································308
1.6. TV widget 서비스 발전과 전망 ··········································313
1.7. Google TV의 등장 ····························································315
2. 리모컨의 진화 ·········································································316
2.1. 양방향 서비스와 리모컨 ····················································316
2.2. 음성인식기술의 활용 ·························································318
2.3. ZillionTV의 시도 ································································319
2.4. AT&T의 새로운 리모컨 ······················································321
2.5. 휴대폰과 연계된 융합형 리모컨 ·········································322
3. DVR 확산 ················································································326
3.1. DVR 보급 실적과 전망 ······················································326
3.2. Multi-room DVR 등장 ························································328
3.3. TiVo의 우회 판매 전략 ······················································329
3.4. Remote DVR에서 Cloud DVR로 ········································330
3.5. Cloud DVR 서비스 동향과 문제점 ·····································331
3.6. 블록버스터의 DVR 활용 ····················································334
3.7. Cisco의 가전사업 진출 전략 ··············································334
3.8. Apple의 TV 시장 진출 전략 ··············································336
3.9. Hybrid VOD 기술 개발 ·····················································337
3.10. Microsoft의 시도 ·····························································337
4. 새로운 무선 디바이스 ······························································338
4.1. MiFi와 WirelessHD ····························································338
4.2. iPad 출시와 시장 반응 ······················································340
표 목차
표 1. KT합병 심사 쟁점 4
표 2. 미국에서의 무선 망중립성 관련 분쟁 사례 (KISDI 정리) 41
표 3. 미디어 소비 통계 48
표 4. KT의 관로 현황 78
표 5. 유료방송 가입자 전망 (상 2009년, 하 2010년 발표) 94
표 6. 세계 각 지역의 IPTV 시장 성장 전망 119
표 7. 미국 유료TV의 서비스 만족도 131
표 8. 북미지역 케이블방송사업자의 SDV 도입 현황 176
표 9. 미국의월간동영상 시청건수 190
표 10. 각종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의 제공 방식 및 이용 가격 206
표 11. NOD 서비스별 기술 규격 246
표 12. 인터넷 접속 TV에 대한 수요 조사 305
그림 목차
그림 1. 미디어법 비교 8
그림 2. 2009년도 IPTV 3사의 실시간방송 가입자 추이 67
그림 3. 2009년 하반기 이후 가입자 추세 72
그림 4. LG전자가 내놓은 myLGtv 전용 TV세트 88
그림 5. 정보통신산업협회의 조사 결과 95
그림 6. 모바일 IPTV 개념도및시장전망 106
그림 7. BNS의 IPTV 전자상거래 솔루션 114
그림 8. 중국의 IPTV 가입자 추이 120
그림 9. 전세계 IPTV 및 케이블 TV 매출전망(2008~2013) 122
그림 10. U-verse의 가입자 추이 123
그림 11. FiOS TV의 가입자 추이 127
그림 12. HCN의 디지털케이블TV 148
그림 13. Boxee의 OTT 셋톱박스 160
그림 14. ‘최신토픽’ 화면 162
그림 15. VOD 서비스 이용 추세 166
그림 16. Skype 기능이 내장된 TV 168
그림 17. 휴대폰에서의 녹화예약서비스 170
그림 18. EBIF 화면 구성 예 171
그림 19. YouTube XL 서비스 화면 183
그림 20. Android phone의 Gmote를 이용한 YouTube XL 원격 조정 183
그림 21. 판도라TV의 HD 서비스 209
그림 22. 각국의 인터넷 전송 속도 220
그림 23. 각국의 브로드밴드 대역폭과 서비스 가격 220
그림 24. 국내 UCC 사이트의 트래픽 변동 235
그림 25. 일본 TV방송사의 동영상사이트의 이용자 추이 241
그림 26. NHK의 정보환류 시스템 개념도 242
그림 27. 시청자 코멘트 처리 및 표현의 예 243
그림 28. 일본 TV Asahi와 TBS가 YouTube에 개설한 채널 245
그림 29. NHK의 NOD 시스템 및 서비스 체계 246
그림 30. NOD 시스템 247
그림 31. KBS가 2004년에 개설한 OMSU 서비스, ‘Life-in-TV\' 248
그림 32. Quixun의 ROBRO 250
그림 33. LG전자의 DVD겸용 모바일TV 및 휴대용 모바일TV 281
그림 34. 미국의 모바일TV 커버리지 (39%) 283
그림 35. OptimizAIR 기술 구성 290
그림 36. Femtocell 통합 IPTV 셋톱박스 292
그림 37. LG전자의 connected TV와 Netflix의 서비스 페이지 300
그림 38. Flash 탑재 TV 302
그림 39. Yahoo! Japan 서비스의 TV 버전 310
그림 40. Yahoo의 TV widget 서비스 313
그림 41. 지앤피씨의 Google TV 315
그림 42. 스웨덴 ‘People of Lava’사의 Google TV 316
그림 43. Zenith의 Flash-Matic(1955년)과 Space Command (1956년) 317
그림 44. C&M의 리모컨 V3.0 317
그림 45. ETRI가 개발한 IPTV용 음성인식 시스템의 작동 화면 319
그림 46. Logitech의 diNovo와 Hillcrest의 air-mouse 320
그림 47. Asus의 Eee keyboard 320
그림 48. iPhone에 탑재된 U-verse용 리모컨 322
그림 49. iPhone에서의 TiVo 원격제어 323
그림 50. Ericsson의 IPTV Remote 324
그림 51. Cisco의 FlipShare TV 335
그림 52. MiFi 외형 338
방통융합서비스 동향분석
KBS 방송기술연구 2010-① 󰠾 1
- i -
이 책자는 KBS 방송기술연구소가 매년 발간해온 ‘방통융합 서비스 동
향 분석’의 2010년 판으로서, 2009년부터 발간 전까지의 국내외 방통융합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정책부터 수익모델에 이르기까지, 사례 중심으로 엮
어 동향을 살펴보고 분석한 것이다. 대략 500여건 이상의 관련 기사와 발
표 정보 등을 항목별로 정리해, 지상파방송의 관점에서 분석하면서 발전
방향을 가늠해 보았다. 다만, 열거된 내용이 KBS의 공식 견해는 아님을
밝히며, 방송발전에 도움 되기를 소망해 본다.
동향분석
먼저 국내에서는 IPTV 3사가 TPS(Triple Play Service) 상품을 전면에
내세우며 가입자 유치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특히 VOD 중심의 pre-IPTV
가입자를 실시간방송 가입자로 전환시키는데 집중하면서 증가세가 좋았지
만, 2009년 말까지 목표했던 200만 가입자는 네 달 뒤에 달성하게 되었으
며, KT를 선두로 SK브로드밴드와 LG데이콤이 KT의 반 이하 실적을 나
타내 1강 2약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채널수가 80여개 이상으로 늘어나 케이블TV와의 다채널 경쟁을
본격화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콘텐츠 관련 규격과 애플리케이션 구현에
이르기까지 3사의 서비스 기술규격이 달라, 규모의 경제에 맞지 않고 시
장도 살아나지 않는다는 비판과 함께, IPTV 활성화를 위해 개방형 플랫
폼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전면적인 개방형 플랫폼으로의 전환보
다는 각 사가 앱스토어나 콘텐츠 오픈마켓 구축 등을 개방형의 방향으로
잡고 있다.
요 약 문
2 󰠾 KBS 방송기술연구 2010-①
- ii -
한편 방송사업자 간의 경쟁과 갈등도 본격화되었다. 지상파와 IPTV사
업자 간 합의가 잘 지켜지지 않아 급기야 VOD 전송 중단사태를 빚자, 결
국 IPTV 포털서비스 운영주체를 합의하면서 풀어지기도 했는데, 콘텐츠
제작 펀드 조성 문제는 상당기간 갈등을 보였다.
그런데, 지상파와 케이블 간에는 더 큰 갈등이 빚어졌다. 지상파DTV
재전송은 무료 대상이 아니며 유료 대가를 요구할 수밖에 없다는데 대해,
케이블TV측이 난시청해소 역할을 견지하면서 협상에 응하지 않자, 저작
권 침해를 들어 소송하기에 이르렀고 1심 판결이 난 상태다. 케이블TV사
업자들 입장에서는 IPTV와 경쟁하기 위한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집중해
야 하지만,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또 다른 측면을 고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리고 국회에서의 파란 뒤, 헌법재판소까지 들른 미디어법이 우여곡절
끝에 시행되면서, 2010년 하반기 이후 신방겸영과 종편 방송사 출현 등
미디어 시장경쟁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KT-KTF의 합병과 LG
3사 합병에 따라 거대 통신사업자가 탄생했으며, TPS로부터 무선을 포함
한 QPS(Quadruple Play Service)로의 이행과 글로벌미디어그룹으로의 발
전까지 고려한 전략적 선택이라고 해석되고 있다.
해외로 눈을 돌려보면, YouTube의 독주에 대응해 올드미디어인 기존
방송사들이 2007년부터 독자적인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콘텐츠 서비
스에 적극 나서기 시작했다. 그 중 가장 주목받는 사이트인 Hulu는 서비
스 개시 1년 반만에 조회건수에 있어 YouTube에 이어 확실한 2위가 되
면서, 기존 방송사의 서비스 영역 확대 및 콘텐츠 분배 전략의 한 모델로
서 주목받게 되었다. 또한 BBC의 iPlayer 서비스도 PC에 이어 모바일 영
역까지 확대되면서 방송사의 three screen 전략이 필요하고 성공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Hulu를 비롯한 온라인동영상 서비스의 도약은 케이블TV 사업자에
게도 영향을 미쳤다. 인터넷을 통해 가입자들이 케이블TV 콘텐츠를 계속
방통융합서비스 동향분석
KBS 방송기술연구 2010-① 󰠾 3
- iii -
즐길 수 있도록 하지 않으면 고객을 빼앗기게 되고, 그 여파가 궁극적으로
가입 취소까지 불러일으킬지도 모른다는 이른바 ‘cord cutting’ 사태를 우
려하게 되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Comcast가 중심이 되어 가입자에게
무료 제공되는 온라인동영상 서비스인 ‘TV Everywhere’ 를 내놓았다.
한편 온라인동영상 서비스의 수익모델을 두고 논란도 많았다. 특히
YouTube는 무료서비스를 지향했기 때문에 가입자가 엄청나게 빠른 속도
로 늘어났지만, 적자해소를 위해 맞춤형 광고서비스 및 TV프로그램의 유
료 스트리밍 서비스 등을 내놓았으며, TV 광고시장에 적극 진출하기 위
해 TV화면을 지향하는 ‘YouTube XL’ 서비스를 내놓기도 했다. 또한
YouTube는 PC보다 흡인력이 높은 TV광고 효과를 수익으로 연결하겠다
는 전략 아래, 저작권자에게 광고 삽입 가능성을 설득하고 나섰다.
이런 수익화 문제는 Hulu도 예외가 될 수 없으며, Hulu의 대주주들이
가입자 기반의 유료화로 전환할 시기임을 표명하면서 2010년부터 유료모
델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그리고 이런 움직임에 자극받은 케이블가입자
도, 무료서비스 하겠다던 TV Everywhere 서비스를 유료화하려는 속내를
드러내고 있다.
한편, 온라인서비스와 함께 DVR의 활력도 나날이 증대되면서 콘텐츠
유통의 허브로 진화되고 있다. 미국시장에서 2007년 12%이던 보급률이
30% 이상으로 높아졌으며, 단순 녹화 장치가 아니라 시간이동형 TV로서
의 영역을 구축하면서 시청시간 증가에도 기여하고 있다. 이와 같이
DVR은 이용하기 전까지 그 가치를 잘 알지 못하지만 일단 이용하게 되
면 절대로 포기할 수 없는 영상장치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DVR이
새로운 콘텐츠 생태계를 형성하면서 시장성을 높이고 있다.
한편 기존TV 시청은 크게 늘어나지 않는 반면, PC와 모바일기기에서의
시청이 크게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아, three screen 전략이 유효함을
말해주고 있다. 다만 콘텐츠 저작권이 허여 범위를 넓혀야 하며, 다양한 매
체와 단말에 걸쳐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메타데이터 전달 및 공유, 콘텐츠
와의 동기화 등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4 󰠾 KBS 방송기술연구 2010-①
- iv -
전 망
초기 가입자를 일정 수준 확보한 IPTV사업자들이 2010년 이후 소비자
를 유인하기 위해 지속성장 가능한 서비스모델을 얼마나 잘 내놓을 수 있
을지, 또한 수익모델이 과연 얼마나 탄탄하게 유지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특히 상당히 고착화된 유료TV 시장에서 2009년과 달리 궁극적으로 케이
블가입자를 유인하는데 집중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결국 방송서비스 부문의 가격을 낮추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초고
속인터넷 가격을 더 내려 소비자 선택을 유도하면서, 한편으로 소비자에
게 어필할 수 있는 부가서비스를 내놓고 경쟁할 것으로 예상되며, 따라서
신규 서비스가 봇물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이를테면 이미 다른 나라에서
개시된 바 있는 Caller ID 서비스나 휴대폰과의 연동서비스 등 융합형 서
비스들이 국내에서도 속속 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런 관점에서 일본 KDDI가 제시한 방통융합 서비스모델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즉, 미디어 종합 추천, TV 다이제스트, 패밀리 콘텐츠 추
천 및 휴대폰-TV 연계뉴스 등 네 가지 주요 기능이 제시되었는데, 서비스
및 콘텐츠의 소프트웨어 측면, 인프라 및 단말기기 등의 하드웨어 측면을
통괄해, 고정 통신부터 모바일 통신에 걸쳐 융합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목표를 구체화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편, IPTV의 수익모델과 관련해 투자대비 수익 전망이 희망적이지 못
할 경우, 우리나라에서도 hybrid IPTV 모델의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며,
따라서 지상파방송사와 가전사 중심으로 추진 중인 DTV 기반의 hybrid
서비스 플랫폼인 OHTV(Open Hybrid TV) 구축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수익모델에 있어서 YouTube든 Hulu든 자유로울 수 없는데, 특
히 인프라나 콘텐츠를 직접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 수익모델 설정에 있
어 취약할 수밖에 없다. 또한 시청자의 경험(UX ; User eXperience)으로
인해 고화질과 고기능이 요구되면서 더욱 더 수익성 문제가 커질 것으로
방통융합서비스 동향분석
KBS 방송기술연구 2010-① 󰠾 5
- v -
전망된다.
그런 관점에서 지상파방송사가 보유한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면서 콘
텐츠 파워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플랫폼을 일정수준 확보해야 하며, 따라
서 무료 다채널 서비스 및 OHTV의 역할을 강화하면서, 나날이 중시되고
있는 DVR의 수용 방안을 포함해 큰 틀의 장기적인 발전모델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특히 iPhone과 iPad의 열풍이 몰고 올 무선 휴대 단말에서의
콘텐츠 서비스 강화를 위해 아카이브 구축을 비롯한 인프라 투자가 요구
되고 있으며, 지상파방송사가 콘텐츠 유통 경쟁에 있어서 우위를 지키기
위한 서비스 차별화와 애플리케이션 탑재 능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방통융합서비스 동향분석
KBS 방송기술연구 2010-① 󰠾 1
Part Ⅰ. 방통융합 환경 변화와 정책
1. 미디어 경쟁 구도의 변화
2. 디지털 전환
3. 트래픽 관리 정책
4. 콘텐츠 보호 문제
5. 망중립성 이슈
6. 소비자 니즈와 동향

방통융합서비스 동향분석
KBS 방송기술연구 2010-① 󰠾 3
Ⅰ. 방통융합 환경 변화와 정책
1. 미디어 경쟁 구도의 변화
1.1 통합 KT의 탄생
논란이 거듭되었던 KT-KTF 합병으로 국내 1위의 유선통신사업자와 국내 2
위의 이동통신사업자가 통합된 자산 25조의 거대 통신기업이 탄생했다. 합병에
따라 KT는 연간 매출액 19조원, 직원 수 3만 8천여 명, 당기순이익 1조 2천억
원(2007년 기준), 총자산 23조 6천억 원 수준의 거대 통신기업이 되었으며,
2011년 매출 21조 달성 및 5년간 5조원 생산유발 효과와 3만 명 고용창출을
기대한다고 밝혔다.1)
특히 KT에 새 회장이 취임하면서 현 정부의 방통융합 추진 정책 및 글로벌
IT 기업 탄생이라는 취지, 유무선 복합 서비스를 통한 시장 경쟁력 확보 전략
이 맞아 떨어져, 시점으로도 합병에 대단히 유리한 국면이었다. 다만, IPTV 상
용화 초기에 경쟁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어 공정 경쟁을 둘러싼 갈등이 염려
되기도 했으며, 합병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 체질 개선이 요구되었다.
이 합병에 대해 경쟁업체들은 KT의 유선통신 지배력이 무선통신으로 전이
될 수 있는 등, 10여년 만에 또다시 ‘KT 독점시대’를 맞게 될 것이라며 반대목
소리를 높였다. 그 결과, KT가 독점하고 있는 전봇대 및 통신관로 등 필수 통
신설비를 일부 공개하는 반대급부도 얻어내게 되었다. 경쟁 통신사업자들 입장
에서 IPTV나 인터넷전화를 통해 결합상품 경쟁력을 높여야 하는데, 대부분의
필수설비에 해당하는 관로와 전봇대 등이 KT의 협조를 얻어야 하기 때문에 현
실적으로 그런 반대급부에 치중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2)
1) “유・무선 1,2위 KT-KTF 합친다”, 연합뉴스, 2009. 1. 20
2) “공정위 간 SKT-LGT, 합병 불허 ‘한목소리’ ”, 디지털데일리, 2009. 2. 4
4 󰠾 KBS 방송기술연구 2010-①
SKT의 SKBB인수 쟁점 KT-KTF합병
-800㎒ 독점 사용
-시정조치: 800㎒ 로밍
지배력의 원천
-KT의 필수설비(?)
-시정조치:LUU제도보완,
혹은 필수설비 분리(?)
유무선 결합시장의 실질적 경
쟁제한 우려
컨버전스시장으로의 지배력 전
이 여부
-SKT사례보다 실질적 경쟁
제한성 심화(?)
-시정조치:결합상품 금지 행위
부과(?)
-2강(SKT군, KT군) 1중(LG
그룹 통신3사)체제 고착화
시장구도 -2강 1중체제 수정(?)
표 1. KT합병 심사 쟁점 (출처 : 연합뉴스)
한편 같은 통신 경쟁사업자와 달리, 케이블방송사업자들의 반대는 또 다른
측면이 있다. 즉, 케이블방송사업자들은 KT-KTF합병에 따른 통신시장 지배력
이 방송시장까지 전이될 우려를 강력히 제기했던 것이다.3)
이렇게 거대 통신기업이 방송에 진입할 경우, 케이블방송사업자뿐만 아니라
지상파방송사에게도 콘텐츠 수급의 압박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그만큼 높
아지는 것이다. 또한 콘텐츠 부분의 공정거래 질서에도 일부 변화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지상파방송사들의 협상력이 일정수준 약화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유무선 합병에 따라 향후 지상파TV 유휴 주파수에 대한 공략이 더욱 힘
을 받을 것이며, 따라서 지상파방송사업자들도 그 영향을 면밀히 분석해 대응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심사 과정에서 공정거래위원회가 종전과 다른 입장을 보이기도 했지
만 결국 산업발전 논리를 상당부분 받아들이게 되었으며, 소비자 이득을 감안
해 조건 없이 승인한다고 밝혔고, 방통위 심사를 거쳐 최종 결정되었다. 공정거
래위원회는 경쟁이 심화되면 소비자들에게 혜택이 돌아간다고 보는 등 합병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경쟁사들이 제기한 6개 쟁점도 경쟁제한의 우려가 없
다고 판단함으로써 케이블방송사업자를 포함한 경쟁사업자들의 반대는 무위로
돌아가게 되었다.4) 5)
3) “케이블TV도 합세..공정위에 ‘KT-KTF 합병반대’ 건의”, 이데일리, 2008. 2. 5
방통융합서비스 동향분석
KBS 방송기술연구 2010-① 󰠾 5
그 자체로 통신시장에 지각변동을 불러일으킨 이 사건은 결국, 경쟁사들의 합
병에도 촉매제로 작용해 LGT-LG데이콤-LG파워콤 간 합병도 이뤄지게 되었다.6)
1.2. SKT의 전략
한편, KT-KTF 합병에 대해 경쟁사인 SK텔레콤은 ‘통합KT보다 애플·노키아
가 더 두렵다’며 국내에서의 빅뱅보다 세계 IT 업계의 대혼전에 대해 주목했다.
제조 · 서비스업의 영역 파괴 현상이 심화되고 국가 간 경계도 사라지기 때문에,
소비자가 가장 많이 쓰는 휴대폰· TV · PC를 모두 장악해야 미디어빅뱅의 주
도권을 쥘 수 있다며, 단말기 · 네트워크 · 콘텐츠를 하나로 통합하는 컨버전스
3.0 시대를 준비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7)
기기의 하드웨어적 결합을 1.0, 통신망을 통한 방송제공이 2.0이라고 할 때,
컨버전스 3.0 시대에는 소위 three-screen 전략으로 단말기 · 네트워크 · 콘텐츠
까지 통합되는 개념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TV 외에 휴대폰 및 PC에도 콘텐
츠를 제공하기 위한 전략으로 AT&T가 천명한 three-screen 서비스의 중요성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이러한 three-screen 전략은 결합상품 경쟁을 콘텐츠 서비스까지 연결시켜 가
입자를 묶어두기 위한 전략이라 할 수 있으며, 제조업체에게도 서비스 분야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글로벌기업들의 최대 관심사로 떠올
랐다. 이를테면 Apple은 iPod, iPhone, iPad에 이르는 계열 제품군과 AppleTV
에 이르기까지, iTunes 및 AppStore를 통해 폭넓은 시장을 창출하고 있으며,
노키아와 소니 및 삼성은 영화와 음악 등의 콘텐츠 시장에 진출했고,
MicroSoft나 Google도 OS를 앞세워 three-screen 서비스로 영역 확대를 추진
하고 있다.
따라서 SKT는 영역구분 없는 IT 시장경쟁에서 하드웨어와 콘텐츠 판매까지
하는 업체가 경계의 대상이라며 KT보다 Apple이 두렵다는 것이다. 실제로
Apple이 iPhone과 게임 · 음악 · 동영상까지 판매하면서 SKT의 ‘네이트’ 매출에
4) “KT합병 ‘경쟁제한 인정되면 시정조치’ ”, 디지털타임스, 2009. 1. 30
5) “소비자 이득을 선택한 KT-KTF 합병 승인”, 아이뉴스24, 2009. 2. 25
6) “KT합병은 방송통신 ‘빅뱅’ 신호탄”, 연합뉴스, 2009. 3. 18
7) “SK텔레콤 ‘통합KT보다 애플·노키아가 더 두렵다’ ”, 한국경제신문, 2009. 5. 14
6 󰠾 KBS 방송기술연구 2010-①
타격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우려한 것이다. SKT의 연간 매출 12조 원 중 무선
인터넷 분야가 25% 이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SKT가 iPhone를 도입하는
것이 약도 될 수 있지만 차세대 수익원을 갉아먹는 독도 될 수 있다는 시각이
다. 따라서 SKT가 iPhone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는 데에는 그런 시각
이 작용했을 수도 있다.
그런데 콘텐츠 이동성을 추구해 시장의 파이를 키우려는 전략과 구체적인 노
력은 근본적으로 저작권이 함께 고려되어야 하는 문제다. 따라서 글로벌미디어
사업자가 자금력에 의한 저작권 지배력을 강화할 경우, 서비스 플랫폼부터 비
즈니스에 이르기까지의 전 단계가 예속되는 문제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콘텐츠 저작권자의 영향력이 커질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지상파 방송사
업자에게 유리한 측면도 있다. 그런 점에서 BBC의 iPlayer는 지상파 방송사가
추구할 수 있는 대단히 시의적절한 전략이라 할 수 있다.
1.3. 글로벌 미디어 그룹 육성
이런 가운데 미디어미래연구소 주최한 ‘글로벌 미디어 전략적 접근’ 포럼에
서 글로벌 미디어 그룹을 육성하려면 ‘플랫폼’보다는 ‘콘텐츠’에 힘써야 한다
는 주장이 쏟아졌다. 단말기 부문에는 LG전자와 삼성전자 같은 글로벌 기업이
있지만, 2007년 Forbes의 자료에 따르면 콘텐츠 부문의 글로벌 기업은 미국 16
개, 일본 4개, 독일 2개, 이태리/멕시코 각 1개로서 한국에는 30위 내에 드는
기업이 없다는 것이다.8)
따라서, 국회 논란을 거쳐 헌재 판결로 일단락 된 미디어법이 신방겸영에 핵
심을 두고 있지만, 향후 글로벌미디어 그룹의 탄생을 위한 규제완화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포럼에서 방통위는 규제를 바꾸지 않으면 글로벌미디
어그룹이 나오기 어렵다며 규제완화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그런데 IPTV 사업부진 등을 고려할 때, 콘텐츠 비즈니스 능력 및 경험을 바
탕으로 하는 새로운 제안들이 쏟아짐에 따라, 통신사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종
전의 글로벌 미디어그룹의 모습이 달라질 개연성이 있는 등, 미묘한 입장 변화
도 예측된다.
8) “글로벌 미디어그룹, ‘플랫폼’보다는 ‘콘텐츠’로”, 아이뉴스24, 2009. 7. 16
방통융합서비스 동향분석
KBS 방송기술연구 2010-① 󰠾 7
한편 포럼에서는 글로벌 미디어 그룹을 육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BBC월드
와이드처럼 공영방송이 중심이 되는 ‘KBS글로벌코리아’를 설립해 글로벌 미디
어 그룹으로 진출하자는 모델도 제시되었다. 글로벌 미디어그룹이 되려면 채널
분배나 턴키공급 능력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대한민국의 콘텐츠 채널 브랜드는
KBS 하나로 충분하다는 것이다.
BBC는 디지털화에 따른 6개 채널에 머독까지 끌어들여 새로운 전략을 펼치
면서, 수익의 75%를 수신료에서 확보하고 나머지는 \'BBC월드와이드\'에서 올
리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도 30여개 기업이 합작해 지원하는 TV저팬이 NHK
콘텐츠로 100% 구성한 사례를 참고삼아 그런 주장을 펼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제안은 KBS의 역할을 새롭게 주문하는 것이며, 상황에 따
라 아리랑방송 및 민간 미디어 기업의 투자까지 포함한 시범적인 글로벌미디어
그룹으로의 육성도 가능할 것이다. 다만, 그 과정에서 BBC처럼 콘텐츠 제작
및 전송 능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재정 안정성이 대단히 중요해지기 때문에 수신
료 현실화의 이유로 더 추가될 수 있다.
1.4. 거대 케이블 그룹의 탄생
2009년 말에는 케이블방송사업자인 CJ 그룹이 통신사업자들의 계열사 합병
에 대응하면서, 거대 콘텐츠 사업자로서의 영향력을 조기에 확보하기 위해 적
극적으로 온미디어 인수를 추진함에 따라, 지상파 방송사의 영향력에 버금가는
거대 콘텐츠 그룹이 탄생하게 되었다. 수치상으로 볼 때, 온미디어의 OCN 및
투니버스 등 10개 채널을 포함해 CJ그룹은 21개 채널을 거느리면서 시청점유
율이 30%를 넘어서게 되었으며, PP 광고시장 점유율 34.7%로 지상파방송 3사
계열의 PP 점유율 28.6%를 추월하게 된 것이다.9)
가입자 규모에 있어서도 CJ헬로비전 260만과 온미디어 56만을 합해 320만
가입자를 확보해 MVNO 진출도 가능해지는 등, 종합편성 방송사업자로서 뿐
만 아니라 및 통신업도 염두에 두고 있다는 분석이다.10)
IPTV 출범과 거대 통신사업자의 내부합병에 따라 케이블TV의 영향력이 축
9) “CJ, 온미디어 인수 추진…거대 콘텐츠 그룹 탄생?”, 파이낸셜뉴스, 2009. 12. 24
10) “ ‘케이블 공룡’ CJ 야심만만 행보”, 경향신문, 2009. 12. 24
8 󰠾 KBS 방송기술연구 2010-①
소될 개연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그 대응책으로 케이블 MPP 또는 MSO간의
인수합병의 필요성이 예견되어 왔는데, CJ그룹이 그 물꼬를 튼 것이라 할 수
있다.
일각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합병한 것과 같은 충격이라 하기도 했다.
분석에 따르면, CJ그룹은 ‘플랫폼’보다는 ‘콘텐츠’ 경쟁력에 비전을 두고 있으
며, SO 망이나 플랫폼 통합 관점보다는 거대 콘텐츠 그룹 탄생으로서의 의미
가 크다는 것이다.
이런 CJ그룹의 약진에 씨앤앰 및 티브로드 등 케이블방송사업자와, KT 및
SK브로드밴드 등 IPTV 업체들도 긴장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특히 IPTV와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플랫폼 부문에서보다 콘텐츠 부문에서 경쟁력을 갖출 필
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TV 디지털 전환에 시너지를 높이면서 타 매체에게 콘텐츠 영향
력을 직접 행사할 수 있는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이는데, 이 과정에서 무리한 사
업 다각화보다는 2010년의 가장 큰 이슈인 케이블가입자 지키기 전략에 초점
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지상파방송 재전송 대가로 갈등을 빚고 있는 가
운데, 이러한 MPP의 출현이 케이블 측 입장을 강화시켜줄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1.5. 미디어법 논란
2008년 방송계의 가장 뜨거운 이슈가 ‘IPTV’였다면, 2009년은 바로 ‘미디어
법’이라 할 수 있다. 이 법을 두고 국회 상임위 상정 전부터 많은 논란이 있었
는데, 미디어법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내놓은 정보통신연구원(KISDI)의
‘방송규제 완화의 경제적 효과분석’ 보고서가 도마에 오르기도 했다.
이 보고서는 방송의 소유겸영 규제완화로 인해 2조9천억의 생산유발 및 2만
1천명 취업유발 효과가 있으며, 보수적으로 예측해도 각각 1조7천억 원 및 1만
3천명을 기대한다고 했는데, 이에 대해 국회 상임위에서 효과를 과대 포장했다
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방송시장이 성장할 것이란 기대가 있지만 과연 어떻게
성장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이 없으며 KISDI 전망이 부풀려졌다는 국
회 예산정책처의 지적도 받았다.11)
방통융합서비스 동향분석
KBS 방송기술연구 2010-① 󰠾 9
그림 1. 미디어법 비교
(출처 : 연합뉴스)
이에 대해 KISDI가 사례를 들어 해명
한다고 했지만, 전망치 산출에 있어 원
시 데이터를 서로 다른 기관에서 부분적
으로 가져올 경우, 전망치에 오류가 있
을 수 있다는 비판을 벗어나기 어려웠다.
그러나, 매출 발생에 따른 고용효과가
나름대로 있을 것이므로 수치상 계산만
으로 비판하고 매도하는 것보다는, 새로
운 서비스 도입에 따른 시장창출 방안을
같이 고민하고 제시하는 것이 더 유익하
다고 할 것이다.
한편 미디어법 처리를 위해 여야가 합
의해 구성한 미디어발전국민위원회는
100일간의 일정으로 활동했지만, 활동
기간 내내 많은 논란을 빚으면서 추가로
10일을 연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각 당의 추천 위원들이 각각 별도의 보고서를
내는 등 대립이 계속 되었다.12)
결국 미디어법 수정안의 국회통과 문제가 헌법재판소 판결까지 거쳐 우여곡
절 끝에 중요사항이 확정됨으로써, 자산규모에 관계없이 대기업과 신문사가 지
상파 방송에 진출할 수 있는 길이 터졌으며, 국내 미디어 시장에 일대 지각 변
동이 불가피하게 되었다.13)
이를테면, 대기업과 신문 및 통신이 방송에 진입할 경우 지상파는 10%, 종
합편성채널 및 보도전문채널은 각각 30%까지 소유규제가 완화되었으며, 신문
과 대기업은 2012년 말까지 방송사 경영을 유예시키게 된다. 또한 구독률 25%
를 초과하는 신문사는 방송겸영을 제한하는 사전규제를 실시하게 되는데, 2006
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선 · 중앙 · 동아일보의 구독률은 각각 11% · 9% · 8%
11) “KISDI 미디어법 효과, 끊임없는 ‘논란’ ”, 디지털데일리, 2009. 2. 23
12) “신문ㆍ방송 겸영금지 2013년 해제”, 디지털타임스, 2009. 6. 25
13) “신방겸영-대기업 방송진출 문 열렸다”, 아이뉴스24, 2006. 7. 22
10 󰠾 KBS 방송기술연구 2010-①
대이기 때문에 사실상 방송진입이 가능하게 되어 사전규제의 실효성에 대한 지
적도 나왔다.
결국 미디어법 통과에 따라 방통위는 종합편성 사업자 선정 및 민영미디어렙
의 도입 방안을 확정하는 절차에 돌입했으며, 2013년까지 지상파 방송에서의
MMS 도입과 신규 지상파 방송사업자를 선정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같이 새로운 경쟁요소가 늘어나면서 방송 산업에 대한 시각도 바뀔 수
밖에 없다. 일정상으로도 2012년에 아날로그 지상파TV 방송이 종료되면 어느
정도 주파수 여유가 발생하기 때문에, 아무리 늦어도 2013년에는 여유 주파수
를 대상으로 신방겸영의 틀 속에서 새로운 민방이 허가될 가능성이 높다. 만약
주파수 여유가 없다 할지라도 규제기관이 MMS를 통해 새로운 채널을 허가할
가능성이 있는 등, 지상파 방송 경쟁 구도가 달라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다만 현재의 지상파방송사들이 구축하고 있는 전국서비스 단위의 가시청권 확
보 수준까지 되려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며, 그 과정에서 기존 방송사와
의 갈등도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대형 가전업체가 시너지 효과를 전제로 지분참여 형식으로 TV방송 서
비스에 뛰어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며, 그 경우 새로운 서비스 창출에는
긍정적일 수 있지만 표준화 등에 있어서는 업계 간의 갈등이 더 심화될 수도
있다.
2. 디지털 전환
2.1. 한국의 디지털 전환 추진
방통위는 향후 5년간의 정책방향을 담은 ‘디지털 전환 활성화 기본계획’을
확정하면서, 2012년에 연기 없이 아날로그방송을 무조건 종료하겠으며, 그렇게
하기 위해 지상파 디지털 튜너내장 의무화하고 대국민 홍보 강화 및
ASO(Analog Switch Off) 시범사업을 추진할 것임을 밝혔다.14)
디지털 전환에 대한 국민의 인지도가 34.9%, 디지털 수신기 보급률이 38.7%
로 다른 나라에 비해 저조하며, 지상파방송사도 경영난으로 인해 2012년 ASO
14) “디지털전환 계획 확정…2012년 아날로그 무조건 종료”, 디지털데일리, 2009. 6. 24
방통융합서비스 동향분석
KBS 방송기술연구 2010-① 󰠾 11
일정에 부담을 갖고 있지만 강력한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특히 방통위는 디지
털화를 2012년 상반기까지 완료해야하며, 약 1조4천억 원이 소요되는 투자비
용 문제로 인해 DTV 전송방식 논란처럼 추진 일정에 부담주지 말아야 한다는
강력한 의지도 천명했다.
DTV 특별법에 따라 ASO가 3년 가량 남은 시점에서, 미국의 전환 일정 연
기 사례 등을 거울삼아 정책 기조를 좀 더 구체화하게 된 것이다. 그 중 일정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시범사업을 거쳐 스무드한 전환을 꾀하면서 그 과정을
통해 문제를 조기에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디지털전환 과정에서 지상파방송사가 미래를 담보할 수 있는 선택
가능한 모든 정책을 내놓고 적극적으로 임할 필요가 있다. 이를테면 단순 디
지털 전환으로부터 지상파 생존에 유익한 미래 대응적 전환 개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DTV와 인터넷이 공존할 수 있는 수신 개념 확보, 디지털
난시청 대책에 대한 타 매체와의 공조 체계 등이 포함될 수 있는지 고민해
야 할 것이며, 2009년 말 제시된 K-view Plan도 같은 맥락에서 시기적으로
도 디지털전환 정책과 연계해 추진할 수 있는 강력한 전략이 필요하다.
2.2. 무료 다채널 지상파TV 서비스 시도
2009년 말 KBS는 무료 다채널 지상파TV서비스, 이른바 K-view plan이라는
새로운 매체전략을 제시했다. 따라서 2010년 한해는 이에 대한 논란이 불가피
하지만, 공적 서비스인 지상파TV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는 중요한 해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수 삼년간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MMS(Multi-mode Service)에 대한
각 이해당사자의 기억이 남아 있지만, IPTV라는 유료방송 등장에 따라 무료보
편적 서비스가 위축될 여지가 많은 만큼, 경제적 약자에 대한 배려 관점에서
반드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각 이해당사자들이 득실 계산과 논리 전파에 골몰하게 되면서, 일정 수
준 갈등도 불가피할 것이다. 결국 방통위가 전체 매체 정책 관점에서 K-view
plan을 어떻게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 할 수 있다.
일단 K-view plan은 MMS(Multi-mode Service)와 다른 개념으로 출발했으
12 󰠾 KBS 방송기술연구 2010-①
며, 한정된 주파수 공간에서 충분한 다채널을 확보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기
존 DTV의 MPEG-2 압축표준과 DMB에서 사용하고 있는 MPEG-4(정확히는
MPEG 4 Part.10 규격 또는 H.264라고 함) 압축표준을 같이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런 상황은 불가피한 선택이자 장기적 관점에서 보면 이 또한 완전한
MPEG-4 표준으로 가기 위한 중간 과정이라 할 수 있다.
MPEG-2와 MPEG-4를 병용하면 MMS 추진 당시 오류를 일으키는 초기
DTV세트의 문제를 회피하면서 한정된 대역폭 내에서 다채널 구성을 더욱 유
리하게 할 수 있지만,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점도 있다.
먼저 KBS를 포함한 지상파방송사들은 현재의 ‘Analog-to-Digital(A-to-D)
전환’보다는 좀 더 적극적인 전환이라 할 수 있는 ‘Digital-to-Digital(D-to-D)
전환’ 정책을 추진한다는 관점에서 K-view plan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기존 디지털전환 정책에 따른 MPEG-2 표준 적용 기간이 연장되
지 않도록 장기적 관점까지 고려해야 할 것이며, ASO 이후 여유주파수를 잘
확보해 HD와 SD가 병용되는 기간도 줄일 필요가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저소득층이 쉽게 K-view 채널을 시청할 수 있도록 제품
가격을 가능한 낮출 수 있도록 하되, ‘무료 다채널’을 원하는 소비자층도 다양
할 것이므로 옵션을 추가한 제품들도 적절히 준비해 ‘보편적 서비스’라는 지상
파방송의 목적을 실현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2012년 말 ASO를 대비해 배포될 DTV 컨버터에 K-view plan이 적
용되어야 한다. 단기적으로 본다면, 결국 저소득층이 얼마나 쉽게 K-view 수신
기를 살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줄 수 있느냐가 중요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저소득층을 위한 DTV 컨버터에 반드시 K-view 기능을 내장할
수 있도록 전환정책을 추진하면서, \'DTV Korea\'가 그것을 감당하도록 하는 것
도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런데 당장 2010년 중에 디지털 전환사업이 시범 추진되는 울진 등 3개 지역
이 고민스럽다. 즉, K-view plan이 실시되기 전에 DTV 컨버터가 해당 지역에
공급되기 때문에, 후일 K-view plan이 본격 시행될 경우 K-view 기능이 내장된
수신기를 추가로 보급해야 하며, 그 문제는 그 이후 시범지역도 마찬가지다.
한편 가전사 입장에서는 제시된 기술적 방안이 MMS 오류 발생 제품의 문
제를 회피할 수 있고 새로운 시장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마다할 이유는 없다.
방통융합서비스 동향분석
KBS 방송기술연구 2010-① 󰠾 13
어차피 케이블이든 IPTV에든 가입하더라도 TV 디스플레이는 필요하며 그 속
에 무엇이 들어가든 새로운 시장이 생길 수 있고, 이미 그 정도의 기술 구현에
는 거의 문제없기 때문이다. 다만 소비자단체들이 K-view 제품군에 저가제품
이 포함되지 않을 경우 가전사가 이익만 챙긴다는 불만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정책당국자들이 합리적이고 균형적인 매체정책을 펴 나가는데 있어
서 K-view plan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는 인식을 갖도록 홍보할 필요가
있다. 이를테면 K-view plan이 주파수 가용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주파수
관할기관인 방통위로서는 반길만한 일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HD 중심의 아날
로그 한 채널 대 디지털 한 채널의 일대일 전환 정책으로부터 HD와 SD의 혼
용 다채널도 용인하는 multiplex 정책으로 방향을 넓혀야 하는 정책 개발이 필
요하게 된다. 또한 케이블과 IPTV 및 위성사업자의 불만을 어떻게 조율 조정
할 수 있을지 고민도 필요하다.
더 자세하게 따져봐야 할 문제들이 있지만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무한 다채
널의 방통융합시대에 지상파방송이 국민에게 보다 친밀한 매체로 존재해야 한
다는 관점에서 ‘국가적 정책’으로 승화시켜야 할 것이다.
특히 ‘무료’라는 첫 번째 키워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2012년 하반기까지 보
급될 예정인 DTV 컨버터에 K-view 수신 기능을 내장해 저소득시청자에게 먼
저 배포할 필요가 있다. 그것이 시민사회단체로부터 K-view plan의 진정성도
인정받고 수신료 가치에 대한 호의적 여론 조성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물론
DTV 전환 시범지역에 K-view 수신기를 공급해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만 있
다면 보다 순조롭게 정책을 펴나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2010년 2월 K-view plan과 관련한 첫 공청회에서 발제자와 패널들
로부터 기본적인 공감을 얻었는데, 이해당사자들이 KBS의 추진 방식에 대
해 다양한 시각을 제시함에 따라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홍보의 필요성이 감
지되었다.
따라서 K-view plan의 성공이, 저소득층뿐만 아니라 모든 계층을 위한 공공
서비스 및 상시 서비스 매체로서의 공적 책임을 제대로 수행하는 것이라는 인
식을 깊이 심어 줄 필요가 있으며, 그런 바탕에서 정책 당국자, 법안을 다룰 국
회, 여론의 한 축인 시민단체로 하여금 긍정적인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14 󰠾 KBS 방송기술연구 2010-①
또한 수신기를 제때 빨리 보급할 수 있도록 제조업체들이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는 토양도 조성해야 한다. 그 동안 시도되었던 부가서비스형 뉴미디어의
대부분이, 수신기 보급 부진과 수익 저조의 악순환 고리를 벗어나지 못해 성공
하지 못한 측면도 있다. 따라서 K-view plan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2.3. 미국의 디지털 전환 실시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은 당선되자마자 연방의회에 2월17일로 예정된 ASO
일정을 늦추자고 공식 요청했다. 또한 소비자단체인 \'Consumers Union\'도 디
지털방송 주파수 경매로 약 200억 달러의 세입이 생기는 것을 감안할 때 쿠폰
지급은 당연하다며 지급이 완료될 때까지 일정 연기를 주장하게 되었다.15)
부시 정권이 세운 당초 전환 계획은 15억 달러를 들여 디지털컨버터를 구입
할 수 있는 쿠폰을 저소득층에 지급한다는 것이었으나, 가구당 40달러의 보조
금 지급을 위한 정부 예산이 소진되는 바람에 오바마 정권으로서는 연기요청을
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특히 미국은 다른 어느 나라보다 금융위기 여파가
컸으므로 이러한 상황을 예견하지 못한 상태에서 결정된 ASO 일정은 재조정
될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연기 문제에 대해 GigaOM이 업계 의견을 조사해, ASO 이후 가용
주파수 이용계획을 갖고 있던 기업들에게 차질이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16)
이를테면, Qualcomm은 ASO 이후 여유주파수가 될 700MHz대에서 MediaFLO
서비스를 준비해 왔으니 모바일TV를 언제 개시해야 할지 일정문제가 생겼다는
것이며, Cox Wireless도 700MHz대에서 3G와 4G 시범 서비스를 계획했는데
2009년 후반기 상용화에 지장이 초래되었다는 것이다. 특히 Verizon Wireless
는 AWS(Analog White Space)로 명명된 주파수에 대해 93억 달러를 이미 지
불했으며 당장 사용할 계획이므로 연장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항의했다.
반면, 경쟁사인 AT&T는 700MHz 주파수획득에 60억 달러를 이미 지불해
LTE 망을 구축할 계획이지만, 2011년 이후의 계획이므로 크게 영향 없다는 다
15) “Obama Pushes for Digital-TV Delay”, WSJ, Jan 8, 2009
16) “The Biggest Losers: Delayed DTV Edition”, GigaOM, Jan 14, 2009
방통융합서비스 동향분석
KBS 방송기술연구 2010-① 󰠾 15
른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다만 늦어진다면 늦어진 만큼 그 주파수를 계속 사
용해온 방송사측이 AT&T에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런데 오바마 정부의 연기 정책이 추진 과정에서 야당의 반대로 부결되는
우여곡절을 겪기도 했다. 상원이 연기 법안을 승인 했지만, 이틀 후 하원에서
법안 통과를 위한 2/3 이상의 찬성표를 얻지 못해 법안이 부결되었던 것이다.17)
그간 컨버터 구입지원비로 가구당 40달러의 쿠폰을 지급해 왔지만 쿠폰이
소진되는 바람에 100만 가구 이상이 발급받지 못했으며, 따라서 소비자단체들
이 전환일정을 6월12일로 4개월 늦추자는 여론 조성에 가세하게 되었다.
결국 오바마 정부의 주장이 받아들여져 4개월가량 일정이 연기되었지만, 한
달간 약 70만의 미준비 가구가 감소되는데 그쳐, 산술적으로 약 8개월이 소요
되는 것으로 나타나 연기 일정 자체도 대단히 촉박한 것이었다.
이러한 연기정책에 따라 미국정부는 컨버터 구입 지원에 6억5천만 달러를
추가 투입하게 되었으며, FCC는 4천명으로 구성된 콜센터를 운영하고 가정에
서 컨버터 설치를 도와주는 무료설치프로그램을 가동시키는 등 나름대로 노력
을 경주했다.18)
당시 시장 조사기관인 Nielsen이 3만7천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환
을 준비하지 못한 가구가 주로 저소득계층과 고령자 및 도시외곽 거주자 등 약
580만 세대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미국 1억1373만 가구의 5.1%에 해당하
는 것이었다. 특히 스페인계 8.5%, 아프리카계 8.7%, 아시아계 6.3% 등 소수
민족이 전환 준비가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55세 이상 8.6%이고 35세 이
하 3.2%로 나타나는 등 연령대별로도 차이가 있었다.19)
또한, 시장조사업체 Knowledge Networks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 사람들은
전환에 대비해 18%가 컨버터를 구입했으며 8%가 단말기를 교체했고, 5%는
유료TV에 가입하는 등 나름대로 준비해 온 것으로 밝혀졌다. 컨버터를 구입한
18% 중, 약 80%는 정부가 발행한 쿠폰을 이용했으며, 직접 방송 수신이 가능
한 가구의 53%가 이미 2008년에 컨버터를 구입했는데 그 경우에도 93%는 정
17) “House fails to pass digital TV delay bill”, Reuters, Jan 28, 2009
18) “Some Not Ready for Digital Switch”, Wall Street Journal, Jun 8, 2009
19) “5.8 Million Still Unready For DTV: Nielsen”, Benton Foundation, Feb 5, 2009
16 󰠾 KBS 방송기술연구 2010-①
부 발행 쿠폰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나 나름대로 정부 정책을 잘 따른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전환에 대한 인식률이 2007년 45%에서 2009
년에는 91%로 2년 사이에 두 배나 늘어나 정책 홍보효과가 컸다고 할 수 있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9% 정도가 전환의 필요성에 공감하지 못했거나
정책을 인지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으며, 그 때문에 전환에 대비하지 못한 가
구가 3%인 약 300만 가구에 달했다고 할 수 있다.20)
따라서 급하게 대국민 홍보를 추진하지 말고 단계적으로 실효성 있게 전환
인식률을 최대한 높여 나가야 미전환 가구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홍보도 지원
대상에 맞게 맞춤 형태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이런 미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미국보다 지상파직접 수신 가구 비율도 낮고,
또한 시범지역을 우선 선정해 순차적으로 전환지역을 확대해나가는 정책 추진
도 시의 적절하며, 대국민 홍보와 함께 체계적인 지원 스케줄을 잘 관리하면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더욱이 K-view Plan의 가치가 잘 알려져 국민적 공감대를 폭넓게 형성해 디
지털전환 계획과 잘 어우러져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대단히 모범적인 디지
털전환 사례를 보여주면서 세계로부터 주목받게 될 것이다.
2.4. 일본의 디지털 전환에서의 케이블TV의 역할
한편,
View All (861)
4G (2) 4G Evolution (1) 5G (49) 5G 특화망 (10) 5g (1) 802.11 (1) 802.1X (1) ALTO (1) ANDSF (1) AT&T (2) Acceleration (1) Adobe HDS (3) Akamai (6) Amazon (3) Apple HLS (4) Authentication (1) BRAS (2) BT (1) Backbone (4) Backhaul (12) BitTorrent (1) Broadcasting (3) C-RAN (13) C-RAN/Fronthaul (12) CCN (4) CDN (52) CDNi (1) COLT (1) CORD (1) CPRI (2) Cache Control (1) Caching (5) Carrier Cloud (2) Carrier Ethernet (9) Channel Zapping (4) China Mobile (1) China Telecom (1) Cloud (10) Cloudfront (1) DASH (2) DCA (1) DHCP (3) DNS (1) DSA (1) Data Center (7) Dynamic Web Acceleration (1) EDGE (1) EPC (5) Edge (1) Energy (1) Ericsson (5) Ethernet (8) FEO (2) Fairness (1) Fronthaul (5) GiGAtopia (1) Gigabit Internet (2) Global CDN (1) Google (5) HLS (1) HTTP (1) HTTP Adaptive Streaming (18) HTTP Progressive Download (3) HTTP Streaming (1) HetNet (1) Hot-Lining (1) Hotspot 2.0 (2) Huawei (3) ICN (4) IP (1) IP Allocation (1) IP Routing (8) IPTV (15) Intel (1) Internet (1) Interoperability (2) IoST (1) IoT (14) KT (22) LG U+ (3) LTE (70) LTE MAC (1) LTE-A (2) Licensed CDN (1) M2M (3) MEC (5) MPLS (25) MVNO (1) Market (4) Metro Ethernet (7) Microsoft (2) Migration (1) Mobile (4) Mobile Backhaul (1) Mobile Broadcasting (1) Mobile CDN (2) Mobile IP (1) Mobile IPTV (3) Mobile Video (1) Mobile Web Perormance (1) Mobility (1) Multi-Screen (7) Multicast (7) NFC (1) NFV (2) NTT Docomo (2) Netflix (6) Network Protocol (31) Network Recovery (3) OAM (6) OTT (31) Ofcom (1) Offloading (2) OpenFlow (1) Operator CDN (14) Orange (1) P2P (4) PCC (1) Page Speed (1) Private 5G (13) Programmable (1) Protocol (7) Pseudowire (1) QoS (5) Router (1) SCAN (1) SD-WAN (1) SDN (15) SDN/NFV (15) SK Telecom (22) SON (1) SaMOG (1) Samsung (2) Security (6) Service Overlay (1) Silverlight (4) Small Cell (3) Smart Cell (1) Smart Grid (2) Smart Network (2) Supper Cell (1) Telefonica (1) Telstra (1) Terms (1) Traffic (2) Traffic Engineering (1) Transcoding (3) Transparent Cache (2) Transparent Caching (14) VLAN (2) VPLS (2) VPN (9) VRF (2) Vendor Product (2) Verizon (2) Video Optimization (4) Video Pacing (1) Video Streaming (14) Virtual Private Cloud (1) Virtualization (3) White Box (1) Wholesale CDN (4) Wi-Fi (13) WiBro(WiMAX) (4) Wireless Operator (5) YouTube (4) eMBMS (4) eNB (1) 망이용대가 (1) 망중립성 (1) 스마트 노드 (1) 이음 5G (3)

 

 

     
         
     

 

     
     

넷매니아즈 회원 가입 하기

2023년 6월 현재 넷매니아즈 회원은 55,000+분입니다.

 

넷매니아즈 회원 가입을 하시면,

► 넷매니아즈 신규 컨텐츠 발행 소식 등의 정보를

   이메일 뉴스레터로 발송해드립니다.

► 넷매니아즈의 모든 컨텐츠를 pdf 파일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비밀번호 확인
코멘트 작성시 등록하신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주세요.
비밀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