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매니아즈 Private 5G | Edge Portal |
|
"Private 5G망"이란, 공중 5G망1)과 달리, 특정 기업2)에 속한 사람이나 디바이스의 접속/연결을 허용하고(폐쇄된 연결성, 보안), 이들에게 필요한 특정 서비스(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사설망으로, 공중망 기술인 5G 기술을 이용해 구축된다. 1) 일반 대중들이 스마트폰 등을 통해 누구나 5G망에 접속/연결하고 인터넷, 전화, VR 스트리밍과 같은 오픈 5G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B2C망 2) 예를 들어, 공장, 공항, 항구, 병원, 오피스, 대학, 물류센터, 지자체, 정부 기관, 공공 기관, 발전소, 농장, 건설현장, 행사장, 비행기, 선박, 기차 등
> 국내에서도 2021년 1월 26일에 과기정통부에서 "5G 특화망"이라는 이름으로 정책 방안을 수립하였다. |
이통사 공중망 기술인 5G를 LAN 기술인 와이파이처럼 기업 사설망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은 최근에 각국 정부가 기업 사설 5G용 주파수를 할당해주어 가능해졌다(아래 표 참조). 이통사가 정부 경매를 통해 획득하는 공중망용 5G 주파수는 구매 비용이 수조원에 이르지만, Private 5G 주파수는 구매하는 개개의 기업 입장에서 보면 나라마다 다르지만 대개 월 몇 만원정도로 거의 무료에 가깝다. 따라서, 많은 기업들이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또 5G 기술을 사용하나 사설망이므로 기업내 온사이트 트래픽 요금도 와이파이처럼 누군가에게 트래픽 요금을 지불할 필요가 없다.
각국 정부는 왜 기업에게 Private 5G 주파수를 주나? - 이는 각국 정부가 5G의 산업계 적용을 수월하게 하여, 기업들의 디지탈 혁신(Digital Transformation)을 촉진시켜, 자국의 산업계의 글로발 경쟁력을 키우기 위함이다.
> Netmanias One-Shot, 세계 각국의 Local 5G 주파수 현황, 2020.07.09
기업의 Private 5G망은 크게 두 가지 방안으로 구현될 수 있다.
> Netmanias Tech-Blog, Private 5G Networks 구축 방안 정리 - 7 가지 구축 모델, 2019.10.18
첫째(공중망용 5G주파수 이용)는 이통사의 공중 5G망 자원을 공유(네트워크 슬라이싱)하여 사설 5G망 구축하는 방안으로 이통사가 구축/운영해준다(아래 그림에서 1).
이 경우 Private 5G망의 5G 주파수는 이통사의 공중망용 5G 주파수이다. 또한 이통사가 기업 사이트내에 제공해주는 5G망 장비들은 이통사 자산이다. 따라서, 기업은 이통사에게 매월 높은 이용 요금(Opex)을 지불해야 한다. 또한 이통사가 제공하는 Private 5G 서비스는 이통사가 B2C(개인, 폰)을 위해 구축한 공중 5G망의 자원을 활용해 (공중망용으로 구축한 5G 코어 Data Plane, 5G 코어 Control Plane, MEC, 기지국 등을 기업 단위로 네트워크 슬라이싱) 제공해준다. 따라서, B2C용으로 구축한 5G망을 B2B 서비스를 위해 활용할 때, B2B 고객사인 각 기업의 보안, 성능, 커스터마이제이션 등의 측면에서 걱정이 있다.
둘째(사설망용 5G 주파수 이용)는 기업내 유선 LAN이나 와이파이 무선 LAN을 구축하는 것처럼, 이통사의 공중 5G망과 무관한 독립적인 사설 5G망(섬)을 구축하는 것이다(아래 그림에서 2, 3).
이는 세계 각국에서 Private 5G용 주파수를 공중망용 5G 주파수와 별도로 할당하기 시작하여 가능해졌다. 이 경우 사설 5G망은 기업이 직접 구축/운영할 자신이 있으면 스스로 하거나, 아니면 5G 장비 벤더 또는 대행사, 유선통신사, 퍼블릭 클라우드사, SI사, 구내통신사업자, 심지어는 이통사가 구축/운영해줄 수도 있다. 2안이든 3안이든 기업은 사내 발생한 데이터 트래픽은 무료다. 또한, 공중망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Private 5G망을 운영하므로 기업내 중요한 데이터들 (기업내 단말 정보, 기업 내부 비지니스 데이터 등)이 기업 건물 밖으로 나가지 않아 기업내 정보의 대외 프라이버시가 보장된다(데이터 주권).
기업내 Private 5G 도입 방안
위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지리적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 Netmanias Tech-Blog, 사설 5G망 (Private 5G Networks) 구축 방안 정리 - 7 가지 구축 모델, 2019.10.18
> Netmanias One-Shot, [Summary] 사설 5G망 (Private 5G Networks) 구축 방안 정리 - 7 가지 구축 모델, 2019.11.14
기업들은 Private 5G망을 도입할 수 있는 다양한 선택지가 생겨난 것이며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Netmanias Report, Private 5G : 이통사와 비이통사의 Private 5G 망 구축 전략 및 현황 (On-Premise Private 5G 중심), 2019.12.30
Private 5G가 힘을 받는 이유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 왜 Private 5G이고 왜 지금인가?
Private 5G 생태계 - 주요 선수들: 기업의 Digital Transformation 열풍과 기업 시장을 염두해 만든 5G 표준 (eMBB, uRLLC, mMTC) 그리고 사설 5G 주파수의 출현으로, 이통사뿐만 아니라 새로운 선수들 (5G 장비 벤더, 구축/운영 대행사, 유선통신사, 퍼블릭 클라우드사, SI사, 구내통신사업자, 위성 사업자 등)이 Private 5G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모두에게 수십년만의 절호의 기회다.
> Netmanias One-Shot, Private 5G의 도래와 열린 기회들, 2021.01.16
Private 5G가 전 세계적으로 열풍이 불고 있는 산업계의 Digital Trasformation의 주춧돌/Enabler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넷매니아즈에서는 Private 5G 포털을 통해 Private 5G 관련 최근 트렌드와 핵심기술 등에 관해 정리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 Private 5G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나 Private 5G 망 솔루션을 개발/판매하는 벤더는, 자사의 Private 5G 서비스나 솔루션 관련 자료를 보내주시면, 넷매니아즈 Private 5G 포탈에 게시하여 드립니다.
E-mail) tech@netmanias.com
넷매니아즈 Private 5G | MEC 분석글 |
Private 5G 시장 규모 |
|
이통사의 Private 5G | MEC |
Asia | ||||||||
KT | SK Telecom | China Mobile | ||||||
USA | ||||||||
AT&T | ||||||||
Europe | ||||||||
Vodafone | Deutsche Telekom | Telefónica |
Public Cloud사의 Private 5G | MEC |
AWS | Microsoft | Google Cloud |
벤더의 Private 5G | MEC |
HFR | Ericsson | Nokia | Huawei | ||||||
Mavenir | Altiostar | Affirmed | |||||||
Airspan | Metaswitch | Apresia | Athonet | ||||||
Kyocera | NEC | Fujitsu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