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음 5G 포탈 홈 / 세계 각국 현황 / 일본, 독일, 중국, 미국, 프랑스, 영국
중국의 Private 5G 현황 |
중국 Private 5G 구축 현황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11월 1일 5G 서비스 개시 |
12월: 5G 기지국수: 77만 2.9억명 |
12월: 5G 기지국수: 142만 3.6억명 |
12월: 5G 기지국수: 231만 5.6억명 |
12월: 5G 기지국수: 338만 8.1억명 |
12월: 5G 기지국수: 425만 10.1억명 |
|
12월: 5G+산업용인터넷 1,800개 |
7월: 5G+산업용인터넷 3,100개 |
5월: 5G+산업용인터넷 4,100개 |
6월: 5G+산업용인터넷 13,000개 1월: Private 5G망 구축: 20,000+개 |
<중국의 Public 5G와 Private 5G 확산 현황>
중국은 2019년 11월 1일 한국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상용 공중 5G 서비스(B2C/일반인 스마트폰 대상)를 개시했으며 2024년 12월 현재 전국에 세계 최대인 425만개의 기지국을 구축하여 5G 커버리지를 넓혀 왔고 5G 가입자수(5G 스마트폰)는 2024년 12월 현재 10.1억명에 이른다.
중국은 5G가 일반인 대상 스마트폰 서비스 기술로 머무르지 않고 산업계 디지털 전환의 필수 인프라라고 보고 2019년 11월 공업정보화부(Ministry of Industry and Information Technology, 工业和信息化部)가 5G+산업인터넷 계획을 발표하고 시진핑의 지시로 산업계에 5G의 국가적 과제로 산업계에 사설 5G를 도입하기 시작했다.
중국 Private 5G망 서비스는 현재까지 이통 3사(차이나 모바일, 차이나 유니콤, 차이나 텔레콤)만 제공하고 있으며, 이들은 기존 B2C용으로 구축한 공중 5G망을 슬라이싱하여 사설 5G망을 구축해준다. 즉, 대규모로 구축되고 있는 공중 5G망을 활용해 사설 5G망을 구축해나가고 있는 것이다.
사업장내 기지국과 이통사 클라우드의 5G Core는 공중망 트래픽과 사설망 트래픽간에 공유되며 사업장마다 5G 풀세트를 구축하지 않아 비용 효율적으로 빠르게 Private 5G망 구축을 확산하고 있다.
<중국 이통사의 Private 5G 구축 방식>
[출처] Netmanias One-Shot, 중국 이통사의 Private 5G: China Mobile, China Unicom, China Telecom and Huawei, 2022.03.10
넷매니아즈의 중국 Privatel 5G 현황 분석 |
중국의 Private 5G기반 AI 머신비젼 응용과 도입효과 (정량적 효과)
2025.05.02 | Netmanias Tech-Blog
본 블로그에서는 우리나라보다 앞서 Private 5G기반의 AI 머신비전 응용을 도입한 중국 기업들의 생산성, 효율성, 비용 절감 등에서 체감한 정량적 도입 효과를 분석한다. |
중국남방전력망의 순시점검 자동화
2025.04.25 | Netmanias Tech-Blog
① 드론, 5G, AI를 활용한 송전선로 실시간 점검 (송전선로)
|
Private 5G 정량적 도입 효과: 원격 중장비 제어 (Remote control of Heavy Equipment)
2025.03.21 | Netmanias One-Shot
닝보항, 광저우항, Valin Xiangtan제철의 크레인 원격 조종 사례 |
Private 5G 정량적 도입 효과: AR 기반 원격 협업 (AR-based Remote Collaboration) 2025.03.01 | Netmanias One-Shot
ZTE (통신장비 제조), Airbus (항공기 제조), Haier (가전 공장), Baosteel (제철 공장)의 원격 협업 사례 |
Private 5G 정량적 도입 효과: 농업 분야 (일본, 대만, 중국 사례) 2025.02.11 | Netmanias Tech-Blog
본 블로그에서는 일본, 대만, 중국의 농업분야 Private 5G 도입 사례와 정량적 도입 효과를 알아본다. |
Private 5G 정량적 도입 효과: 로봇 기반 순시점검 자동화 (Maintenance Inspection) 2025.02.06 | Netmanias One-Shot
중국남방전력 (에너지), 텐진 화력발전소, 광저우 메트로의 순시점검 자동화 사례 |
Private 5G 정량적 도입 효과: IoT 기반 예지보전 (Predictive Maintenance) 2024.12.10 | Netmanias One-Shot
Esteel (제철공장), Baosteel (제철공장), FAW (자동차 공장) 등의 IoT 기반 예지보전 사례 |
중국 닝보항의 Private 5G 사례 - 원격 크레인 제어
2024.11.25 | Netmanias Tech-Blog
본 블로그에서는 화물 처리량 15년째 세계 1위인 중국 닝보항의 Private 5G밍 기반 스마트 항구 구축 사례를 알아본다. ① 5G 기반 타이어 갠트리 크레인(RTGC) 원격제어 ② 5G기반 무인 컨테이너 트럭 ③ 5G 기반 안벽(Quayside Crane=Ship-to-Shore Crane) 원격제어 |
Private 5G 정량적 도입 효과: 머신비전 품질검사 (AI Machine Vision Quality Inspection) 2024.11.22 | Netmanias One-Shot
머신비전 품질검사의 상용화 사례와 정량적 도입효과를 알아본다. 기존의 사람의 육안 검사를 산업용 카메라, 5G망, AI로 대체하여 사람보다 빠르고 더 정확하게 불량품을 골라내는 머신비전 기반 품질검사 자동화 시스템의 상용화 사례와 정량적 효과를 알아본다. |
중국 ZTE의 5G장비 제조공장 사례
2024.11.21 | Netmanias Tech-Blog
중국 ZTE는 자사의 5G공장에 Private 5G망을 구축하고 ① 5G 클라우드 기반 AMR ② AI 머신비젼기반 5G AAU 보드 자동 조립 (AI가 로봇팔을 원격제어) ③ AI 머신비젼 기반 품질 검사 (AAU 보드 표면 검사) ④ AR 기반 유지보수 원격 지원 ⑤ 5G 순찰 로봇과 AI를 활용한 공장 부지 순시점검 등 다양한 디지털 전환 응용을 도입하였다. 각 응용별 정량적 도입효과를 알아본다. |
중국 이통사의 Private 5G: China Mobile, China Unicom, China Telecom and Huawei 2022.03.10 | Netmanias One-Shot
전세계에서 중국이 Private 5G 시장을 압도적으로 이끌고 있으며, 중국 3대 이통사(China Mobile, China Unicom, China Telecom)가 기업에 Private 5G망을 구축해주고 있다(China Mbile의 경우 2021년 3월까지 470개, China Unicom의 경우 올 3월까지 800개의 Private 5G망을 기업들에게 구축해줌). 본 Netmanias One-Shot은 MWC 2022에서 중국 이통 3사와 Huawei가 발표한 각 사의 Private 5G 망 구조에 관해 알아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