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포트 | 기술문서 | 테크-블로그 | 원샷 갤러리 | 링크드인 | 스폰서 컨텐츠 | 네트워크/통신 뉴스 | 인터넷자료실 | 자유게시판    한국 ICT 기업 총람 |

제품 검색

|

통신 방송 통계

 
 
 
섹션 5G 4G LTE C-RAN/Fronthaul Gigabit Internet IPTV/UHD IoT SDN/NFV Wi-Fi Video Streaming KT SK Telecom LG U+ OTT Network Protocol CDN YouTube Data Center
 

2024

5G 특화망

포탈

Private 5G/이음 5G

 포탈홈

  넷매니아즈 5G특화망 분석글 (149)   5G특화망 4가지 구축모델   산업분야별 5G특화망 활용사례  5G특화망 정량적 도입효과  |  [5G 특화망 벤더Samsung | HFR | more
 

해외

  국가별 사설5G 주파수 [국가별 구축현황] 일본 | 독일 | 미국 | 프랑스 | 영국  [사설5G 사업자] Verizon | AT&T | DT | Telefonica | AWS | Microsoft | NTT동일본 | NTT Com    
 

국내

  5G 특화망 뉴스 | 국내 5G 특화망 구축 현황  UPDATED  | 국내 5G 특화망사업자 현황 (19개사) | 국내 자가구축사례 일람 | 국내 특화망 실증사업사례 일람 | 5G 특화망 정책
 
 

[5G 특화망 구축 사례]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 | 반월시화산단 삼성서울병원 | 롯데월드 | 한국수력원자력 | 해군본부 | 한국전력공사 | 머크 바이오센터 more  [이통사] KT

 
 
스폰서채널 |

 HFR Mobile의 5G 특화망 솔루션 (my5G)  Updated   |   뉴젠스의 5G 특화망 구축 및 운영 서비스  NEW  

  스폰서채널 서비스란?
banner
banner
SEARCH
넷매니아즈 블로그를 통해 두차례에 걸쳐 TIC(Transparent Internet Caching)에 대해 소개해 드린 적이 있습니다. (관련 글은 하단 Related Netmanias Contents 참조) 오늘은 TIC 동작 원리를 좀 더 상세히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Redirector TIC 솔루션을 위해서는 TIC와 연결된 네트워크 장비가 Redirector 기능을 지원해야 합니다. Redirector는 사용자에서 Origin 서버로(예. YouTube), 그리고 Origin 서버에서 사용자로의 패킷을 의도적으로 TIC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하며 정교한 Redirect Rule을 주기 위해서는 DPI(Deep Packet Inspection) 장비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HTTP 30...
06/06/2012
30,450
지난 시간에 이어 오늘 설명 드릴 내용은 아래 그림 우측 IP Routing입니다. 예전에 IP 분야 경력자 면접을 볼 때 우측 그림상에서 패킷 흐름/테이블 변화(아래 설명할 내용)를 화이트보드에 한번 그려 보라 한 적이 있는데요. 웃는 얼굴로 설명을 시작했지만 끝은 별로 좋지 않았다는... 지난 시간과 마찬가지로 망 구성도를 잘 봐 주시기 바랍니다. MAC/IP 값은 아래 테이블과 같습니다. Server/Router Port MAC 주소 IP 주소 SVR1 lan1 m1 1.1.1.10 SVR3 lan1 m3 2.1.1.30 R1...
05/31/2012
66,590
제목이 좀 유치하죠? ^^* 말랑 말랑한 블로그 공간에서의 표현이므로 너그럽게 봐 주시기 바랍니다. 오늘과 내일에 걸쳐 L2(Ethernet) 스위칭과 L3(IP) 라우팅 과정에서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글을 통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ARP와 IP 패킷 스위칭/라우팅 과정에서 Ethernet Header의 변화 스위칭/라우팅 과정 전후로 단말과 스위치, 라우터의 테이블(Routing, ARP, MAC Table) 엔트리 변화 Switching과 Routing 위 그림은 앞으로(오늘과 내일) 설명드릴 망 구성도이므로 잘 봐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서버/라우터의 MAC, IP 주소, 스위치/라우터의 포트(인터페이스) 번호)...
05/31/2012
92,324
"LTE와 Wi-Fi 네트워크 연동 구조" 연재 마지막 편으로 Location Management에 대한 설명입니다. 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핸드오버에 대해 간단히 살펴 보겠습니다. LTE 망 안에서의 eNB(기지국)간 핸드오버 결정은 UE(단말)가 아닌 LTE 망(eNB)이 수행합니다. 이를 위해 UE가 현재 붙어 있는 eNB(Serving eNB)는 "자신(Serving eNB) 및 인접한 eNB로 부터 수신되는 셀의 신호세기"를 UE로 부터 지속적으로 리포팅 받아 핸드오버를 결정하게 됩니다. (LTE 핸드오버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면 여기, 여기 클릭) 반면, LTE와 Wi-Fi 간에 핸드오버와 같이 LTE(3GPP 망)와 이기종 Access 망(Non 3GPP 망)간의 핸드오버...
05/30/2012
51,386
"LTE/Wi-Fi 연동 구조" 연재 회수가 많아져 지루함을 느끼실 분들을 위해(사실은 제가 좀 힘들어서 ^^*) 오늘은, "이런 IPTV 서비스가 있으면 참 좋겠다!"는 생각의 Personal Video Mosaic EPG 서비스 개념에 대해서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서비스 개념 기존의 IPTV는 아래 좌측 그림과 같이 개인 선호채널이 Text 기반의 EPG 화면(시간대별 방송 프로그램 리스트)으로 보입니다. 일부 케이블 TV 사업자의 경우 여러 채널들 영상을 한번에 보이는 경우(우측화면과 같이)도 있지만 이는 사업자가 미리 정해놓은(개인이 선택한 것이 아님) 채널 영상들이 Encoder에서 하나의 영상 스트림으로 만들어져 가입자 셋톱박스로 전달되는 것이므로 개인화 EPG라고 보기는...
05/24/2012
20,586
오늘은 LTE와 Wi-Fi 연동 구조 4편 "Wi-Fi에 접속한 UE의 모든 트래픽은 P-GW를 거쳐야 하는가?"에 대한 설명입니다. 다들 잘 아시겠지만 Wi-Fi 기술은 정말 저렴합니다. AP 하나에 2~3만원 정도이고 별도의 Core 장비(LTE의 P-GW 같은)가 필요 없습니다. 하지만 LTE 기술은 정말 정말 비쌉니다. Wi-Fi가 마티즈라면 LTE는 마이바흐(Maybach) 정도 되겠죠. 그래서 비싼 LTE 망의 성능 유지/자원 보호를 위해 Wi-Fi와 같은 저렴한 기술로 Mobile Data Offloading을 하고 있죠. 여기서 잠깐! Mobile Data Offloading이란? Mobile data offloading, also calle...
05/22/2012
46,862
지난 시간에는 LTE망과 Wi-Fi망 간에 연동 구조에서 인증과 보안에 대해 살펴 보았는데요. 오늘은 단말(UE) IP 할당 절차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UE IP 주소 할당 절차 ■ UE의 IP 주소는 누가 할당해 주나? UE는 LTE 망에 붙어 있던 Wi-Fi 망에 붙어 있던 항상 P-GW를 거치게 되고, P-GW가 UE의 IP 주소를 할당 해 줍니다. LTE망과 Wi-Fi망간에 핸드오버를 고려하여(핸드오버를 위해서는 UE의 IP 주소가 절대로 빠뀌면 안됨!) P-GW는 UE에 할당했던 IP 주소를 기억하고 있다가, LTE 망에서 Wi-Fi 망으로 이동 혹은 Wi-Fi 망에서 LTE 망으로 이동해도 동일 IP 주소를 UE에 전달해 줍니다. (이게 바로 IP Anchor가...
05/17/2012
49,176
지난 시간에는 LTE 망과 Wi-Fi 망 간에 연동 구조에 대해 살펴 보았는데요. 오늘은 인증(Authentication)과 보안(Security)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동 통신 기술에서의 인증과 보안(암호화/무결성 보호) 기술은 수많은 Key들과 알고리즘으로 인해 이해하기 참 쉽지 않은 분야라고 생각합니다. 오늘 설명 드릴 내용은 그런 복잡한 얘기는 제하고 쉽게 개념 위주로 설명 드리고자 합니다. 1. 인증 (Authentication) ■ 인증 정보는 누가 가지고 있나? UE는 USIM에 인증 정보가 들어 있고, 망은 HSS에 그 정보가 저장(Provisioning)되어 있습니다. 물론 UE 별로(IMSI 별로) 서로 다른 인증 정보를 가지고...
05/16/2012
51,144
안녕하세요! 넷매니아즈 블로그입니다. 오늘은 3GPP 표준에서 얘기하고 있는 LTE망과 Wi-Fi망 간에 연동 구조에 대해서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3GPP에서 얘기하는 Trusted, Untrusted Network이란? 3GPP에서 규정하고 있지 않은(표준화 하지 않은) WiBro나 Wi-Fi 액세스망을 Non-3GPP 망이라 부르고, 이 Non-3GPP 망은 "Trust"일 수도 있고 "Untrust"일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Trust와 Untrust의 기준은 보안(Security) 수준 입니다. 즉, 3GPP Core(EPC)망과 연동할 Non-3GPP 액세스망의 보안 수준이 믿을만 하면 "Trust"이고, 그렇지 않으면 "Untrust"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에 따라...
05/14/2012
73,614
지난 시간에는 OSPF 망에서 Router-LSA를 통해 각 라우터가 Network Topology Map을 만들고 Link Cost 기반으로 Shortest Path Tree를 구성하는 절차에 대해 설명을 드렸습니다. 오늘은 위의 과정을 통해 생성된 OSPF Topology에 External Network이 연결되는 경우, 어떻게 OSPF 라우터들은 External Network의 라우팅 정보를 배우고, 그 Network으로 가는 Shortest Path를 알게 되는지 그 과정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OSPF External Network ■ OSPF 관점에서 External Network이란? External Network이란 OSPF로 구성된 하나의 네트워크(AS 혹...
05/09/2012
59,400
지난 시간에 LTE over MPLS L3VPN 망을 위한 IP/MPLS 프로토콜을 설명 드리면서 "모든 IP 라우터는 OSPF나 IS-IS와 같은 IG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IP 망 토폴로지 정보를 서로간에 주고 받고, Shotest Path Tree 토폴로지를 구성한다"라고 말씀을 드렸었는데요. 오늘은 OSPF 프로토콜을 통해 어떻게 라우터들이 OSPF 망(IP 망)의 전체 토폴로지를 알아내고, Shortest Path Tree를 구성하는지 살펴보도록 보겠습니다. 사실 OSPF와 같은 라우팅 프로토콜은 라우팅 비전문가들에게는 그 원리를 이해하기가 쉽지 않은 기술 분야입니다. Cisco나 Juniper 장비의 라우팅 설정(CLI)을 잘 하시는 분들은 많이 보았는데, 프로토콜 원리를 이해하고 계시는...
05/07/2012
134,354
지난 시간에 이어 오늘은 LTE over MPLS L3VPN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IP/MPLS 프로토콜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장비 설정(CLI) 레벨의 설명 보다는 프로토콜의 사용 목적에 대해 개념 위주로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MPLS L3VPN을 위한 IP/MPLS 프로토콜 ■ E2E 망 구성 복습 차원에서 지난 시간에 설명드린 망 구성을 간단히 살펴 보면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eNB들은 AS로 aggregation되고, AS들은 다시 AR로 aggregation됩니다. eNB는 Management(예. EMS와 통신), Control(예. MME와 통신), Internet(예. GTP 터널링된 사용자 데이터) 트래픽 별로 서로 다른 VLAN이 할당(정의...
05/02/2012
59,812
지난 시간에 이어 오늘은 LTE over MPLS L3VPN 망 상에서 LTE 노드간 트래픽을 그 타입(data, control, management)별로 separation하기 위한 MPLS L3VPN 설계 개념에 대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LTE 네트워크를 위한 MPLS L3VPN 망 설계 ■ E2E 망 토폴로지 아래 그림은 일반적인(특정 사업자망이 아닌) 통신망 구조입니다. Cell site에 위치한 eNB(eNodeB)들은 L2 스위치인 AS(Access Switch, 예: Cisco ME3400)로 aggregation 되고, 여러 AS들은 다시 CO에 위치한 AR(Aggregation Router)로 연결됩니다. POP에는 ER(Edge Router)이 위...
04/25/2012
48,627
총 3편에 걸쳐 LTE 네트워크를 위한 MPLS L3VPN 망(LTE over MPLS L3VPN Network) 개념에 대해서 소개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편(이번 시간)에서는 MPLS L3VPN 기본 개념을 살펴보고, 2편에서 MPLS L3VPN 기술을 이용하여 LTE 노드간 트래픽을 타입(data, control, management)별로 separation하는 방안에 대해 알아 볼 것이며, 마지막으로 LTE over MPLS L3VPN 망을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IP/MPLS 프로토콜(OSPF, MP-iBGP, PE-CE Routing 등)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MPLS L3VPN 기본 개념 아마도 지구상에 있는 모든 통신 사업자는 MPLS L3VPN 기술을 사용하여...
04/23/2012
54,457
지난 시간에 이어 오늘은 LG U+ 가입자의 경우 LG U+ Google Global Cache(이하 GGC)로 부터 어떤 흐름으로 동영상이 다운로드 되는지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LG U+ GGC내에 사용자가 요청한 동영상이 있는 경우(Cache Hit)의 흐름을 알아보고, 이후 동영상이 없는 경우(Cache Miss)의 흐름에 대해서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LG U+ 회선을 통한 YouTube 다운로드 (1) LG U+ Google Global Cache에 동영상이 있는 경우 (Cache Hit) LG U+ 망 내부에(LG U+ IDC;Internet Data Center에) GGC가 들어 있다는 점 외에는 지난 시간의 KT 그림과 동일한 구성입니다....
04/18/2012
62,355
넷매니아즈 블로그를 통해 총 3편에 걸쳐 LG U+와 KT 인터넷 회선에서의 YouTube 다운로드 속도 비교 시험 결과를 소개드린바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LG U+에 도입된 Google Global Cache(이하 GGC)를 통해 어떤 흐름으로 YouTube 동영상이 내 단말로 다운로드 되는지 work flow를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오늘 1편에서는 GGC가 도입되지 않은 KT의 경우를 살펴 보고, 다음 2편에서는 LG U+ 내의 GGC에 사용자가 요청한 동영상이 있는 경우(Cache Hit)와 그렇지 않은 경우(Cache Miss)를 나누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KT 회선을 통한 YouTube 다운로드 먼저 아래 그림의 구성을 간략히 살펴 보면 왼쪽 회색판[...
04/16/2012
52,164
지난 시간에 이어 오늘은 Windows 7을 이용한 LG U+와 KT 회선의 YouTube 성능 시험 결과를 보여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시험 환경은 Windows XP 때와 동일하므로 지난 블로그 글(LG U+와 KT의 YouTube 다운로드 속도 비교 시험 (2탄) - Windows XP를 이용한 시간대별 속도 테스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시험 결과 1. 다운로드 소요시간 (Elapsed Time) LG U+ KT 비교 80회 "다운로드 소요시간"의 평균치 8.0초 2분 20초 LG U+가 17배 빠름 80회 중 최소 "다운로드 소요시간"...
04/09/2012
46,636
지난 시간에 LG U+와 KT 회선을 이용한 YouTube 다운로드 속도 비교를 동영상을 통해 소개해 드린 바 있습니다. 지난 번 결과는 어느 한 시점의 스냅샷 데이터였다면, 오늘은 잠자는 시간을 뺀 16시간 동안 LG U+와 KT 회선에서 Windows XP를 이용하여 총 160회에 걸쳐 진행한 YouTube 동영상 다운로드 속도 측정 결과를 보여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시험 환경 LG U+와 KT 인터넷 회선에서 benchbee(www.benchbee.co.kr)를 통해 90Mbps 이상의 다운로드 속도가 나옴을 확인함 테스트 단말 OS/브라우져: Windows XP/Chrome YouTube 동영상 정보 제목: Avatar - Extended Collector's E...
04/05/2012
46,949
연재의 마지막으로 오늘은 IP 라우팅 관점에서 LTE 핸드오버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IP 라우팅을 잘 아시는 분들은 LTE 핸드오버의 개념을, LTE를 잘 아시는 분들은 IP 라우팅의 개념을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글을 시작하겠습니다. 1. UE가 붙기 전: IP 라우팅 설정 ■ Topology eNB들은 AS(Access Switch, L2 switch임)로 연결이 되고, AS들은 AR(Aggregation Router)에 의해 aggregation되며, 다시 AR들은 ER(Edge Router)로 aggregation 됩니다. 그리고 SAE-GW(S-GW와 P-GW 일체형 장비)는 ER과 2개의 포트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SAE-GW의 ge1...
04/03/2012
42,213
3월달 들어 LG U+의 YouTube 속도가 엄청 빨라지고 HD 영상(1080p, 1920x1080, 6Mbps)도 버퍼링 없이 재생되는 희안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 그 동안은 YouTube하면 떠오르는 것이 버퍼링, 로딩 화면이였는데 어떻게 된 것일까? 그런데 KT의 YouTube 속도는 그대로 이다. 어떻게 된 것일까? LG U+와 KT의 YouTube 품질을 비교 테스트 보았다. LG U+와 KT 모두 100Mbps 광랜 회선이고 YouTube의 동일 컨텐츠 (20분짜리 빅뱅 뮤직비디오, 1080p, https://www.youtube.com/watch?v=2IoDRsU1TKc)를 재생하였다. (동일 PC로 측정하였고 OS는 Windows 7임)...
03/30/2012
55,823
banner
3G Subscribers (3) 4.5G (1) 4G LTE (2) 5G (446) 5G Private 5G (1) 5G 특화망 (142) 5g 특화망 (1) AI (25) ALTO (3) AR (3) ARP (9) AT&T (5) AWS (2) Akamai (16) Authentication (13) BSS (1) BT (5) Backbone (11) Backhaul (6) Big Data (4) Billing (1) Blockchain (3) Bridging (7) C-RAN/Fronthaul (61) CDN (47) CIoT (2) CPRI (13) Carrier Aggregation (7) Carrier Ethernet (11) Charging (4) China (1) China Mobile (5) Cisco (10) Cloud (6) Cloud Optimization (2) CoMP (11) Comcast (3) Connected Car (4) DHCP (15) DNS (18) Data Center (29) EDGE (35) EDge (1) EMM (14) EPS Bearer (8) Edge (6) Edge Computing (1) EoMPLS (4) EoS (4) Ericsson (3) Ethernet (9) FTTH (20) Femto Gateway (2) Fronthaul (1) GSLB (6) GiGAtopia (4) Gigabit Internet (61) Google (29) Google Global Cache (11) Google TV (2) HLS (10) HSDPA (2) HTTP (8) HTTP Adaptive Streaming (23) HTTP Progressive Download (7) Handover (12) Huawei (3) IEEE 802.1 (5) IGMP (5) IP (7) IP Allocation (14) IP Routing (32) IPSec (5) IPTV (88) IS-IS (1) IoST (5) IoT (160) Iot (1) KT (144) Korea (29) Korea ICT Market (20) Korea ICT Service (15) Korea ICT Vendor (3) L3 Switch (5) LG U+ (72) LSC (1) LTE (278) LTE Frequency (4) LTE Subscribers (4) LTE-A (34) LTE-A Pro (1) LTE-B (1) LTE-H (2) LTE-M (4) LTE-U (8) LoRa (13) MEC (58) MPLS (29) MPTCP (5) MWC 2013 (2) MWC 2015 (12) MWC 2016 (3) MWC 2017 (1) Metro Ethernet (24) Mobile IP (2) Mobile IPTV (3) Multi-Screen (7) Multicast (8) NAT (9) NB-IoT (12) NTT Docomo (3) Netflix (18) Network Protocol (119) Network Recovery (8) Network Slice (2) Network Slicing (7) New Radio (10) Nokia (1) O-RAN (2) OSPF (7) OTT (52) Openflow (2) Operator CDN (10) P2P (6) PCRF (3) PIM-SM (2) PS-LTE (3) Platform (2) Pooq (3) Privae 5G (1) Private 5G (195) Privatre 5G (1) QoS (18) RCS (5) RRH (1) Railway (1) Request Routing (7) Roaming (1) Router (8) SD-WAN (34) SDN/NFV (162) SIM (1) SK Broadband (5) SK Telecom (124) Samsung (12) Security (28) Self-Driving (4) Shortest Path Tree (2) Small Cell (7) Spectrum Sharing (3) Switching (6) TAU (7) TPS (13) Transcoding (3) Transparent Caching (17) UHD (15) VLAN (3) VPLS (7) VPN (10) VR (5) Verizon (5) Video Optimization (5) Video Pacing (5) Video Streaming (58) VoLTE (11) VoWiFi (3) WAN Optimization (3) Wholesale CDN (7) Wi-Fi (74) WiBro(WiMAX) (4) Wideband LTE (3) YouTube (36) blockchain (1) eICIC (2) eMBMS (8) ePDG (8) iBeacon (1) security (1) telecoin (1) u+ tv G (5) uCPE (2) 로컬 5G (3) 이음 5G (94) 이음 5G\ (1) 이음5G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