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포트 | 기술문서 | 테크-블로그 | 원샷 갤러리 | 링크드인 | 스폰서 컨텐츠 | 네트워크/통신 뉴스 | 인터넷자료실 | 자유게시판    한국 ICT 기업 총람 |

제품 검색

|

통신 방송 통계

 
 
 
섹션 5G 4G LTE C-RAN/Fronthaul Gigabit Internet IPTV/UHD IoT SDN/NFV Wi-Fi Video Streaming KT SK Telecom LG U+ OTT Network Protocol CDN YouTube Data Center
 

2025

5G 특화망

포탈

Private 5G/이음 5G

 포탈홈

  넷매니아즈 5G특화망 분석글 (153)   5G특화망 4가지 구축모델   산업분야별 5G특화망 활용사례  5G특화망 정량적 도입효과  |  [5G 특화망 벤더Samsung | HFR | more
 

해외

  국가별 사설5G 주파수 [국가별 구축현황] 일본 | 독일 | 중국미국 | 프랑스 | 영국  [사설5G 사업자] Verizon | AT&T | DT | Telefonica | AWS | Microsoft | NTT동일본 | NTT Com    
 

국내

  5G 특화망 뉴스 | 국내 5G 특화망 구축 현황  UPDATED  | 국내 5G 특화망사업자 현황 (19개사) | 국내 자가구축사례 일람 | 국내 특화망 실증사업사례 일람 | 5G 특화망 정책
 
 

[5G 특화망 구축 사례]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 | 반월시화산단 삼성서울병원 | 롯데월드 | 한국수력원자력 | 해군본부 | 한국전력공사 | 머크 바이오센터 more  [이통사] KT

 
 
스폰서채널 |

 HFR mobile의 5G 특화망 솔루션 (my5G)  Updated   |   뉴젠스의 5G 특화망 구축 및 운영 서비스  NEW  

  스폰서채널 서비스란?
banner
banner
SEARCH
총 3편에 걸쳐 LTE 네트워크를 위한 MPLS L3VPN 망(LTE over MPLS L3VPN Network) 개념에 대해서 소개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편(이번 시간)에서는 MPLS L3VPN 기본 개념을 살펴보고, 2편에서 MPLS L3VPN 기술을 이용하여 LTE 노드간 트래픽을 타입(data, control, management)별로 separation하는 방안에 대해 알아 볼 것이며, 마지막으로 LTE over MPLS L3VPN 망을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IP/MPLS 프로토콜(OSPF, MP-iBGP, PE-CE Routing 등)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MPLS L3VPN 기본 개념 아마도 지구상에 있는 모든 통신 사업자는 MPLS L3VPN 기술을 사용하여...
04/23/2012
55,240
요즘 이동통신의 화두는 당연 LTE이죠. 국내 통신 3사에서도 각종 언론을 통해 "LTE"란 기술 용어를 브랜드화여 일반인에게 노출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LTE를 구성하는 네트워크 장비 요소(NE: Network Element)들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그림은 LTE NRM(Network Reference Model) 즉, LTE 네트워크 구조를 도식화 한 것입니다. UE (User Equipment) 사용자 단말입니다. 그 형태는 Smartphone일 수도 있고, 아니면 데이터 통신만을 목적으로 하는 USB dongle(USB type으로 노트북에 연결하여 무선 인터넷 사용)일 수도 있습니다. UE에는 "가입자 식별/인증을...
12/02/2011
123,601
삼성전자의 조성연님이 보내주신 Cellular IoT 관련 기고글입니다. 무덥고 바쁘신 와중에 유익한 기고글을 보내주신 조성연님에게 정말 감사드립니다. 조성연님의 기고글 모두보기 지난 2부에서는 이동 통신 표준 단체인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이하 3GPP)에서 Release-10부터 Release-12까지 표준화한 IoT 관련 표준 기술들을 설명하였다. 2부에 이어 3부에서는 최근 주목 받고 있는 Release-13의 표준 기술들을 설명하는데, Release-13의 Radio 네트워크 표준 part1로 설명하고 코어 네트워크 기술을 part2로 설명한다. 지난 2부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3GPP 초창기 Cellular IoT 표준 기술...
07/25/2017
33,433
4월 21일 삼성 갤럭시 S8 출시를 맞아 이동통신사의 신기술 마케팅이 한바탕 휩쓸었다. 속도 경쟁만 강조한다는 비판을 의식한 듯 이번에는 고객 만족과 품질 향상을 앞세웠다. 본 문서에서는 Exa 트래픽 시대를 맞은 한국 이동통신사들이 무선망 용량 증가와 품질 관리를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목차 INTRODUCTION 1 4.5G 진화 - 5-CA 및 4x4 MIMO 상용화 1.1 3GPP LTE 진화 1.2 SK Telecom의 4.5G 진화 1.2.1 256 QAM 도입...
07/06/2017
19,643
In this post, we will talk about “jitter” introduced in the fronthaul network of LTE C-RAN. As shown in the figure on the right, jitter refers to the skew or variation in time or phase of a digital signal exchanged between communication systems. This jitter can eventually cause errors during the data and clock recovery process at RRH. Then, why should we be worried about jitter...
07/04/2014
54,919
Today's topic is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and Globally Unique Temporary Identifier (GUTI). These two are parameters (identifiers) used in identifying UEs in LTE networks. What is IMSI? IMSI is a unique ID that globally identifies a mobile subscriber. It is composed of two parts, PLMN ID and MSIN, as shown in Figure below. A PLMN ID is an ID that globally ident...
10/03/2013
23,084
국내 최대 이동통신사인 SK Telecom는 2012년 7월경에 모바일 단말에서 실시간 방송과 VoD를 시청할 수 있는 Btv Mobile 서비스(SD/HD급)를 출시하였고, 올해 7월에는 LTE-A 상용화를 계기로 화질을 대폭 향상시킨 "Full HD"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아래는 이에 관련한 SK Telecom의 보도 자료이다. [2013년 6월 26일, SK Telecom 보도 자료 ] SK텔레콤은 LTE-A 상용화를 계기로 Full HD급 초고화질 방송?영상 콘텐츠와 멀티 네트워킹 서비스 등 고품질 ? 대용량 ? 다채널 서비스를 대폭 강화한다... 7월 초에는 55만 명의 유료 고객이 이용하는 LTE 망 기반 모바일 IP TV인 ’Btv mobile’에...
09/24/2013
46,338
Today's topic is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and GUTI (Globally Unique Temporary Identifier). These two are parameters (identifiers) used in identifying UEs in LTE networks. What is IMSI? IMSI is a unique ID that globally identifies a mobile subscriber. It is composed of two parts, PLMN ID and MSIN, as shown in Figure below. A PLMN ID is an ID that globally identi...
07/10/2013
135,245
사용자 경험에 기반한 EMM 시나리오와 11가지 EMM Case들 문서를 참고하시고 본 문서를 읽기 바랍니다. EMM 절차 문서 중 세 번째 문서로, EMM 시나리오 편에서 정의했던 EMM Case 3, 즉 LTE 망에서 서비스를 이용 중이던 사용자가 비활성화되어 더 이상 eNB에 접속되어 있지 않고 S1 연결을 해제하는 S1 Release 절차를 다룬다. S1 Release 절차를 통해 제어 평면에서 S1 시그널링 연결이 해제되고 사용자 평면에서 하향 S1 Bearer 연결이 해제되는 절차를 기술하고, S1 Release 절차 전•후로 EPS 엔터티 내에 정보들이 어떻게 변경되는지 살펴본다. 목차 1. 시...
04/26/2012
52,040
오늘은 LTE의 TA(Tracking Area)와 TAU(Tracking Area Update) 개념에 대해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LTE 단말(UE)이 Active 상태(통신을 하고 있는 상태, LTE 용어로 얘기하면 EMM-Registered/ECM-Connected/RRC-Connected 상태)에 있는 경우, LTE 망은 UE의 위치를 Cell 단위로 알게 됩니다. 즉, 어느 eNB의 어느 Cell에 위치하는지 압니다. 하지만 UE가 Idle 상태(통신을 하고 있는 않는 상태, LTE 용어로 얘기하면 EMM-Registered/ECM-Idle/RRC-Idle 상태)에 있는 경우, LTE 망은 UE의 위치를 Cell 단위가 아닌 TA(Tracking Area) 단위로 알게 되는데요....
12/16/2011
78,815
삼성전자의 조성연님이 보내주신 Cellular IoT 관련 기고글입니다. 바쁘신 와중에 유익한 기고글을 보내주신 조성연님에게 정말 감사드립니다. 조성연님의 기고글 모두보기 지난 1부에서는 IoT를 실현하기 위한 표준 기술에 대한 개요와 cellular IoT의 등장 배경을 설명하였다. 1부에 이어 2부에서는 이동 통신 표준 단체인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이하 3GPP)에서 2009년경부터 표준화한 IoT 관련 표준 기술들을 설명한다. 3GPP에서는 Release-10 (NOTE1)부터 Cellular IoT 관련 기술들을 표준화하여 왔는데, Cellular IoT 표준화 초창기였던 Release-10과 Release-11의 표준화에서는 아래 표...
06/20/2017
27,539
삼성전자의 조성연님과 노키아의 원성환님이 보내주신 세번째 기고글입니다. 읽기 쉽고 유익한 기고글을 보내주신 두 분께 감사드립니다. 조성연, 원성환님의 기고글 모두보기 지난 시간에는 이동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는 상황에서 발언권을 허용 받은 지휘관 또는 보고자가 말하고 이외 그룹 통신 참여자들은 음성 스트림을 수신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사용자 별로 음성 품질을 보장하는 베어러(GBR bearer)를 설정하였을 경우, 일정 수 이상의 사용자를 수용할 수 없는 셀에 업무 수행을 위하여 수백/천의 그룹 통신 참여자가 몰렸을 때, MBMS를 통하여 이 그룹 통신 참여자들에게 하향링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번 시간에는 재난 안전망이 다루어야 하는 또...
08/08/2016
22,825
Table of Content LG U+ achieved 600 Mbps in its Second LTE-U Demonstration We had a chance to discuss with a member of LG U+ Access Network Development Team who conducted the LTE-U demonstration last month. Below we will briefly review what we learned from him about their LTE-U demonstration, target areas, and commercialization plan, one at a time....
07/10/2015
34,802
넷매니아즈에서 발행하는 KCR (Korea Communication Review) 책자본을 무료로 배송해드립니다. 신청하세요. Table of Content Netmanias Interview with Korean Companies at MWC 2015 KT's demonstrations of LTE-H and LTE-U At Barcelona's MWC 2015, KT demonstrated a variety of new 5G, Hetnet and IoT technologies and services. Of all those presented, below we wil...
04/10/2015
44,172
Enhanced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eICIC) As noted in the previous post about ICIC, we will find out about enhanced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eICIC), an interference control technology in LTE-A in this post. In LTE/LTE-A, one key challenge for operators is that they have to increase network capacity to keep up with fast-growing traffic. Especially, crowded areas in m...
08/06/2014
66,169
Today, we will talk about GTP tunnels used in the LTE network. As seen in Figure (a) below, IP packets sent by an LTE device (UE) are delivered from an eNB to a P-GW through GTP tunnels. What it means is that "all IP packets that a UE sends are always delivered through an eNB to a P-GW regardless of their specified destination IP addresses (i.e., even though their destination IP addresses a...
09/12/2013
78,775
어제에 이어 LTE QoS에 대해서 설명드리며, 오늘은 LTE에서 사용되는 QoS 파라미터의 의미를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EPS Bearer는 Default EPS Bearer와 Dedicated EPS Bearer로 나뉘어지며, 이 EPS Bearer는 다음과 같은 LTE QoS 파라미터를 가지고 LTE 망에서 QoS 제어를 받습니다. Resource Type: GBR or Non-GBR QCI ARP GBR MBR APN-AMBR UE-AMBR 이제 각 파라미터에 대해서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Resource Type = GBR (Guaranteed Bit Rate) 대역폭을 보장받을 수 있는 타입의 EPS Bearer를 나타냅니다. 자연스럽게...
01/10/2012
82,997
오늘은 LTE망이 가입자(UE)를 식별할 수 있는 파라미터(식별자)인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와 GUTI (Globally Unique Temporary Identifier)에 대해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IMSI란? IMSI는 전세계적으로 이동통신 가입자를 식별할 수 있는 unique한 ID로 그 포맷은 아래 그림과 같이 PLMN ID와 MSIN으로 구성됩니다. PLMN ID는 전세계적으로 통신 사업자를 식별할 수 있는 ID가 되구요(대한민국 SKT는 MCC=450, MNC=05로 구성). MSIN은 해당 통신사업자내에서 가입자를 식별할 수 있는 unique한 ID가 됩니다. 그렇다면 통신사업자는 왜 가입자 식...
01/02/2012
60,585
In this blog, we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commercial 5G network construction of KT and SK Telecom, and the difference of 5G value pursued. First Release: 2019.03.29 Last Updated: 2019.10.11 1. End-to-End 5G Network Architecture The 5G network can be functionally divided into 5G Core network and 5G RAN, and can be divided into Central Cloud and Edge Cloud which are geograp...
10/11/2019
71,465
NextEPC (https://nextepc.com)의 이지훈님이 보내주신 5G 기고글입니다. 바쁘신 와중에 유익한 기고글을 보내주신 이지훈님에게 감사드립니다. 이지훈님의 기고글 모두보기 1. 개요 4G LTE 네트워크에서 Evolved Packet Core (EPC)와 유사하게 5G 네트워크에서는 5GC (5G Core)를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과거 3G/4G와는 달리, 5G 구축시에는 기존 EPC를 이용하거나 또는 5GC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5GC를 사용하는 단독모드 (Stand-Alone)와 EPC/5GC를 섞어쓰는 혼용모드 (Non-Stand-Alone)의 선택이 가능하여, 최적의 네트워크 진화 방법을 결정하는데 있어 복잡성을 더하고 있다. 2. 단독모드(SA) 5...
05/29/2019
27,760
3G Subscribers (3) 4.5G (1) 4G LTE (2) 5G (452) 5G Private 5G (1) 5G 특화망 (148) 5g 특화망 (1) AI (25) ALTO (3) AR (3) ARP (9) AT&T (5) AWS (2) Akamai (16) Authentication (13) BSS (1) BT (5) Backbone (11) Backhaul (6) Big Data (4) Billing (1) Blockchain (3) Bridging (7) C-RAN/Fronthaul (61) CDN (47) CIoT (2) CPRI (13) Carrier Aggregation (7) Carrier Ethernet (11) Charging (4) China (1) China Mobile (5) Cisco (10) Cloud (6) Cloud Optimization (2) CoMP (11) Comcast (3) Connected Car (4) DHCP (15) DNS (18) Data Center (29) EDGE (35) EDge (1) EMM (14) EPS Bearer (8) Edge (6) Edge Computing (1) EoMPLS (4) EoS (4) Ericsson (3) Ethernet (9) FTTH (20) Femto Gateway (2) Fronthaul (1) GSLB (6) GiGAtopia (4) Gigabit Internet (61) Google (29) Google Global Cache (11) Google TV (2) HLS (10) HSDPA (2) HTTP (8) HTTP Adaptive Streaming (23) HTTP Progressive Download (7) Handover (12) Huawei (3) IEEE 802.1 (5) IGMP (5) IP (7) IP Allocation (14) IP Routing (32) IPSec (5) IPTV (88) IS-IS (1) IoST (5) IoT (160) Iot (1) KT (144) Korea (29) Korea ICT Market (20) Korea ICT Service (15) Korea ICT Vendor (3) L3 Switch (5) LG U+ (72) LSC (1) LTE (278) LTE Frequency (4) LTE Subscribers (4) LTE-A (34) LTE-A Pro (1) LTE-B (1) LTE-H (2) LTE-M (4) LTE-U (8) LoRa (13) MEC (58) MPLS (29) MPTCP (5) MWC 2013 (2) MWC 2015 (12) MWC 2016 (3) MWC 2017 (1) Metro Ethernet (24) Mobile IP (2) Mobile IPTV (3) Multi-Screen (7) Multicast (8) NAT (9) NB-IoT (12) NTT Docomo (3) Netflix (18) Network Protocol (119) Network Recovery (8) Network Slice (2) Network Slicing (7) New Radio (10) Nokia (1) O-RAN (2) OSPF (7) OTT (52) Openflow (2) Operator CDN (10) P2P (6) PCRF (3) PIM-SM (2) PS-LTE (3) Platform (2) Pooq (3) Privae 5G (1) Private 5G (201) Privatre 5G (1) QoS (18) RCS (5) RRH (1) Railway (1) Request Routing (7) Roaming (1) Router (8) SD-WAN (34) SDN/NFV (162) SIM (1) SK Broadband (5) SK Telecom (124) Samsung (12) Satellite (1) Security (28) Self-Driving (4) Shortest Path Tree (2) Small Cell (7) Spectrum Sharing (3) Switching (6) TAU (7) TPS (13) Transcoding (3) Transparent Caching (17) UHD (15) VLAN (3) VPLS (7) VPN (10) VR (5) Verizon (5) Video Optimization (5) Video Pacing (5) Video Streaming (58) VoLTE (11) VoWiFi (3) WAN Optimization (3) Wholesale CDN (7) Wi-Fi (74) WiBro(WiMAX) (4) Wideband LTE (3) YouTube (36) blockchain (1) eICIC (2) eMBMS (8) ePDG (8) iBeacon (1) security (1) telecoin (1) u+ tv G (5) uCPE (2) 로컬 5G (3) 이음 5G (100) 이음 5G\ (1) 이음5G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