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포트 | 기술문서 | 테크-블로그 | 원샷 갤러리 | 링크드인 | 스폰서 컨텐츠 | 네트워크/통신 뉴스 | 인터넷자료실 | 자유게시판    한국 ICT 기업 총람 |

제품 검색

|

통신 방송 통계

 
 
 
섹션 5G 4G LTE C-RAN/Fronthaul Gigabit Internet IPTV/UHD IoT SDN/NFV Wi-Fi Video Streaming KT SK Telecom LG U+ OTT Network Protocol CDN YouTube Data Center
 

2025

5G 특화망

포탈

Private 5G/이음 5G

 포탈홈

  넷매니아즈 5G특화망 분석글 (153)   5G특화망 4가지 구축모델   산업분야별 5G특화망 활용사례  5G특화망 정량적 도입효과  |  [5G 특화망 벤더Samsung | HFR | more
 

해외

  국가별 사설5G 주파수 [국가별 구축현황] 일본 | 독일 | 중국미국 | 프랑스 | 영국  [사설5G 사업자] Verizon | AT&T | DT | Telefonica | AWS | Microsoft | NTT동일본 | NTT Com    
 

국내

  5G 특화망 뉴스 | 국내 5G 특화망 구축 현황  UPDATED  | 국내 5G 특화망사업자 현황 (19개사) | 국내 자가구축사례 일람 | 국내 특화망 실증사업사례 일람 | 5G 특화망 정책
 
 

[5G 특화망 구축 사례]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 | 반월시화산단 삼성서울병원 | 롯데월드 | 한국수력원자력 | 해군본부 | 한국전력공사 | 머크 바이오센터 more  [이통사] KT

 
 
스폰서채널 |

 HFR mobile의 5G 특화망 솔루션 (my5G)  Updated   |   뉴젠스의 5G 특화망 구축 및 운영 서비스  NEW  

  스폰서채널 서비스란?
banner
banner
SEARCH
손장우 (Harrison J. Son) 넷매니아즈 | (주)엔앰씨컨팅그룹 대표이사 son@netmanias.com 기가토피아라는 비전을 선언한지 1년이 넘은 지금, 그 동안 KT가 어떠한 혁신들을 이루어 냈는 지 정리해보자. 무엇을 하겠다고 했나? 작년 5월 KT가 제시한 기가토피아: 속도전 선포 - 빠른 것은 여전히 옳다. • 기가 인터넷: 기존 100Mbps인 가정에 기가급 인터넷 접속 속도를 제공하겠다 - 기가 FTTH: 광케이블이나 UTP가 인입되어 있는 가구는 1Gbps, 500Mbps를 제공하겠다. - 기가 와이어: 전화선만 인입되어 있는 가구도 대략 300Mbps를 제공하겠다...
07/16/2015
42,650
For the rest of the Q1 2015 issue of Korea Communication Review magazine please click here 3. 5G Strategies by LG U+ LG U+, acknowledging service as a more important factor in 5G than speed, is putting more efforts into developing differentiated services than mere technologies competition. That is, it is taking a stance that it would develop 5G services first, and then take care of t...
01/27/2015
42,061
국내 이동통신 시장은 이통 3사가 LTE(10MHz), LTE-A(10+10MHz), 광대역 LTE(20MHz)로 숨가쁘게 진화하며 속도 경쟁과 품질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최대 속도는 주파수 대역을 얼마나 넓게 얼마나 많이 사용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는 데 국내 통신 3사의 LTE 주파수 대역 확보 현황은 대동소이하여 최대 속도는 모두 동일합니다. 이론적인 최대 속도가 아닌 실제로 체감하는 속도, 즉 품질 (Quality of Experience)은 여러 가지 요소로 최대속도와는 거리가 먼데, 대표적인 품질 저하 요소 중에 하나가 주로 셀 경계에서 발생하는 셀간 간섭 (Inter-Cell Interferece)입니다. 셀 간 간섭은 2G/3G 망에서는 기지국 상위 노드에 의해 제...
05/24/2014
39,714
한국은 전세계적으로 LTE 시장과 기술 측면에서 가장 선도적인 나라로 LTE 분야에서 글로벌 레퍼런스 국가이다. 2013년은 한국의 LTE 진화에 큰 점프를 한 해로 본 리포트에서는 올해까지의 한국의 격동적인 LTE 시장과 기술 현황을 정리해본다. 목 차 개요 (EXECUTIVE SUMMARY) 1 1 시작하는 글: 한국, 세계 LTE 시장을 이끌다. 3 2 이동통신 3사별 LTE 현황 (SK TELECOM, KT, LG U+) 5 2.1 SK 텔레콤 6 2.2 KT 7 2.3 LG U+ 8 3 한국 LTE 주파수 상용화 현황 9 3.1 2013년 주파수 경매 전 (201...
01/03/2014
15,374
This time we will give you a brief overview of an LTE Tracking Area (TA) and Tracking Area Update (TAU). While an LTE device (UE) is in active state (i.e. while communicating, or while in EMM-Registered/ECM-Connected/RRC-Connected state in LTE terms), its location is known by the LTE network at cell level (i.e. on a cell granularity), e.g. in cell2 in eNB1. However, while the UE is in idl...
10/17/2013
43,208
This time we will give you a brief overview of an LTE Tracking Area (TA) and Tracking Area Update (TAU). While an LTE device (UE) is in active state (i.e. while communicating, or while in EMM-Registered/ECM-Connected/RRC-Connected state in LTE terms), its location is known by the LTE network at cell level (i.e. on a cell granularity), e.g. in cell2 in eNB1. However, while the UE is in idle...
08/30/2013
253,294
이번 시간에는 이동 통신 사업자의 LTE 서비스 가입(Subscription) 절차에 대해서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서비스 가입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Offline Subscription: 대리점 방문 혹은 전화(콜센터)를 통해 서비스에 가입하는 방법으로 국내 통신사업자는 모두 이 방법을 사용하고 있죠. Online Subscription: Open Market에서 단말(USIM 포함)을 구매하여 자가 개통하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구매한 LTE 단말을 이용하여 사업자 Portal에 접속 후 가입 정보를 입력하고 상품(Service Plan) 및 결제 방법을 고르는 식입니다. 대리점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지 않은 동남아, 중동 지역의 사업자에서 주로 이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
06/26/2012
29,633
사용자 경험에 기반한 EMM 시나리오와 11가지 EMM Case들 문서를 참고하시고 본 문서를 읽기 바랍니다. EMM 절차 문서 중 두 번째 문서로, EMM 시나리오 편에서 정의했던 EMM Case 2, 즉 LTE 망에서 서비스를 이용 중이던 사용자가 Detach 하는 경우에 대한 Detach 절차를 다룬다. Detach triggering이 발생하는 엔터티별로 UE-initiated Detach, MME-initiated Detach 및 HSS-initiated Detach 절차를 기술하고, Detach 절차 전•후로 EPS 엔터티 내에 정보들이 어떻게 변경되는지 살펴본다. 목차 1. 시작하는 글...
09/29/2011
76,026
한국 이동통신 3사가 모두 5G 도입을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2G, 3G, LTE, LTE-A, 4.5G, IoT (LTE-M, LoRa, NB-IoT), WiFi 네트워크 등 통신사 네트워크는 갈수록 복잡해지고 그 성능이 고도화되고 있다. 동영상 이용증가로 계속되는 트래픽 증가와 곧 다가올 5G향 고용량 콘텐츠 등장으로 예상되는 트래픽 폭증은 네트워크 용량 증가와 스몰 기지국/셀의 확산을 요구한다. 또한 이통3사 모두 신성장 동력으로 IoT와 인공지능 (AI)를 강화하면서,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새로운 융합 서비스를 창출하는 빅데이터 비지니스와 분석된 데이터를 학습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AI 비지니스가 부상하고 있다. 스몰 셀 증가와 IoT, AI 서비스 확산에 대비...
06/23/2017
27,462
We are pleased to share with you all an interesting article contributed by Mahmoud Ali who has 10 years of experience as Network, RF Planning and Optimization Team leader / Solutions Architect / Expert in GSM/UMTS/LTE. Mahmoud Ali LTE Team Leader/SME at AdvaComm All Articles by M...
02/01/2017
74,234
SK Telecom faces concerns about market stagnation As the largest mobile operator in South Korea, SK Telecom has been the first in the world to present innovative LTE services like LTE-A and LTE CA every year since its LTE service launch in 2011. The operator has posted higher ARPU and revenues thanks to an increase in LTE subscriptions, which has a higher ARPU than 2G/3G. However, recen...
12/27/2016
31,459
사용자 경험에 기반한 EMM 시나리오와 11가지 EMM Case들 문서를 참고하시고 본 문서를 읽기 바랍니다. 본 문서에서는 EMM Case 8과 EMM Case 9 절차를 다룬다. 즉 연결 상태(EMM-Registered, ECM-Connected, RRC-Connected)에 있는 사용자 단말이 망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TA로 이동할 때의 핸드오버 절차와 휴지 상태(EMM-Registered, ECM-Idle, RRC-Idle)에 있는 사용자 단말이 망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TA로 이동할 때의 셀 재선택 절차를 다룬다. EMM Case 8/9의 핸드오버/셀 재선택 절차는 EMM Case 6/7(TAU 절차 없는 핸드오버/셀 재선택)에서와 동일하나, 단말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TA로 이동함에 따라...
05/23/2013
66,773
아마도 많은 분들이 LTE 기술 문서가 언제 새로 나오나 기다리고 계실 것 같습니다. 현재 LTE 문서를 작성하시는 분이 다른 컨설팅 과제로 너무 바쁘셔서 시간이 나지 않는 상황인데요. 2월 중으로 과제가 종료 되므로 그 이후에 아마도 따끈 따끈한 문서들을 만나 보실 수 있을 것 같네요. LTE handover 기술 역시 향후(개나리꽃 필 쯔음 ^^) 넷매니아즈 기술문서로 나오겠지만, 핸드오버 개념 위주로 블로그를 통해 간단히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3G, LTE, WiBro등을 이동통신 기술이라고 하지요. 여기서 "이동"의 의미는 이동 중에도 통신이 끊기지 않는다는 말이 되고, 이는 Wi-Fi와 구별되는 매우 중요한 차이점이 됩니다. Wi-Fi 진영도 열심히 핸드오버(근데 Wi-Fi 진영은 ha...
02/27/2012
63,194
모든 무선 통신망(Wi-Fi, WiBro 그리고 LTE)은 "가입자 인증(User Authentication)"과 "무선구간에서의 보안(무결성 확인 및 암호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가입자 인증은 내 가입자만(나한테 매달 돈 내는 가입자) 망에 접근할 수 있게 해야 하니까 필요한 것이고, 무선구간 보안은 유선처럼 물리적인 줄(회선)이 가입자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무선구간 중간에서 누군가가 가입자 데이터를 가로채서 나쁜곳에 사용되면 안되므로 필요한 것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LTE 인증과 무선구간 보안에 대해서 "개념적"으로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인증과 보안"의 상세 동작 내역이 초보자님들이 이해하기가 쉽지 않은 기술 분야라서 오늘은 detail한 기술 내용 보다는 최대한 쉽...
01/04/2012
47,085
We are pleased to share with you all an interesting article contributed by Jihoon Lee. Jihoon Lee Founder of NextEPC All Articles by Jihoon Lee How to contribute your article to Netmanias.com !...
05/31/2019
31,704
We are pleased to share with you all an interesting article contributed by Upendra Kumar Tiwari. Upendra Kumar Tiwari Senior Research Associate Subject Matter Expert in Telecom at Clarivate Analytics All Articles by Upendra Kumar Tiwari...
03/12/2018
28,100
삼성전자의 조성연님과 김성훈님이 보내주신 Cellular IoT 관련 네 번째 기고글입니다. 무덥고 바쁘신 와중에 유익한 기고글을 보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조성연님의 기고글 모두보기 3부 part1에서 언급했듯이 Release-12에 이어서 Release-13에서는 IoT 단말들의 저전력, 간헐적인 데이터 전송 등의 특징을 잘 지원하기 위한 기술들이 도입된다. 아래 표 1과 그림 1에 리스트된 Release-13 표준 기술들은 Radio 기술과 코어 네트워크 기술로 분류할 수 있는데, Radio 표준 기술은 part1에서 설명하였다. 이에 이어 Part2에서는 코어 네트워크 표준 기술을 설명하고자 한다. 표 1. 3GPP의 Release-13 Cellular IoT (이하 cI...
08/10/2017
26,203
Houman Sadeghi Kaji who is Experienced Board Member with a demonstrated history of working in the telecommunications industry. Skilled in Wi-Fi offloading/on loading Network Design, 4G, Diameter, MNO, MVNE, MVNO and Reliability Engineering. Houman Sadeghi Kaji Chief Innovation Officer (CIO) at Lotus Communication Inc....
02/27/2017
21,314
LG U+는 올해 6월 10일에 댁내 STB를 통해 4 채널을 동시 시청하는 U+ HDTV 멀티채널 서비스(U+ tv G 4 Channel Service)를 개시하였고 7월에는 모바일 버전 (LTE-A기반) 서비스도 개시하였다. 본 블로그글에서는 LTE-A 지원 모바일 단말에서 U+ HDTV 서비스의 스트리밍 방식에 대해 분석해 본다. U+ HDTV 서비스는 아래 그림처럼 4개의 분할 화면 시청과 단일 채널 시청의 두 가지 Viewing Experience를 제공한다. 4개 분할 화면은 동시에 4개의 채널을 시청할 수 있으며 4개의 채널 각각은 이용자가 직접 그때 그때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대단한 개인화 서비스이다). 두 모드 모두 화질과 시청감은 매우 만족이였다. 이 두 가지...
08/19/2013
38,523
이동 통신 사업자는 IP Transport 망(IP/MPLS Network)에 LTE 장비(eNB, S-GW, P-GW, MME, HSS 등)를 연결하여 LTE 망을 구축합니다. 전국에 흩어져 있는 기지국(eNB)과 5~6개의 Regional POP에 위치한 LTE Core 장비(S-GW, MME 혹은 P-GW) 사이의 IP Transport 망을 Mobile Backhaul이라 부르며, 안정적인 이동 통신 서비스(Handover, VoLTE 서비스 등)를 위해 Mobile Backhaul은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Delay, Jitter, Loss, Availability 등)을 유지/만족해야 합니다. 아래 그림은 Ericsson 자료를 인용한 것으로, 본 자료에 따르면 LTE 서비스를 위...
08/29/2012
39,765
3G Subscribers (3) 4.5G (1) 4G LTE (2) 5G (452) 5G Private 5G (1) 5G 특화망 (148) 5g 특화망 (1) AI (25) ALTO (3) AR (3) ARP (9) AT&T (5) AWS (2) Akamai (16) Authentication (13) BSS (1) BT (5) Backbone (11) Backhaul (6) Big Data (4) Billing (1) Blockchain (3) Bridging (7) C-RAN/Fronthaul (61) CDN (47) CIoT (2) CPRI (13) Carrier Aggregation (7) Carrier Ethernet (11) Charging (4) China (1) China Mobile (5) Cisco (10) Cloud (6) Cloud Optimization (2) CoMP (11) Comcast (3) Connected Car (4) DHCP (15) DNS (18) Data Center (29) EDGE (35) EDge (1) EMM (14) EPS Bearer (8) Edge (6) Edge Computing (1) EoMPLS (4) EoS (4) Ericsson (3) Ethernet (9) FTTH (20) Femto Gateway (2) Fronthaul (1) GSLB (6) GiGAtopia (4) Gigabit Internet (61) Google (29) Google Global Cache (11) Google TV (2) HLS (10) HSDPA (2) HTTP (8) HTTP Adaptive Streaming (23) HTTP Progressive Download (7) Handover (12) Huawei (3) IEEE 802.1 (5) IGMP (5) IP (7) IP Allocation (14) IP Routing (32) IPSec (5) IPTV (88) IS-IS (1) IoST (5) IoT (160) Iot (1) KT (144) Korea (29) Korea ICT Market (20) Korea ICT Service (15) Korea ICT Vendor (3) L3 Switch (5) LG U+ (72) LSC (1) LTE (278) LTE Frequency (4) LTE Subscribers (4) LTE-A (34) LTE-A Pro (1) LTE-B (1) LTE-H (2) LTE-M (4) LTE-U (8) LoRa (13) MEC (58) MPLS (29) MPTCP (5) MWC 2013 (2) MWC 2015 (12) MWC 2016 (3) MWC 2017 (1) Metro Ethernet (24) Mobile IP (2) Mobile IPTV (3) Multi-Screen (7) Multicast (8) NAT (9) NB-IoT (12) NTT Docomo (3) Netflix (18) Network Protocol (119) Network Recovery (8) Network Slice (2) Network Slicing (7) New Radio (10) Nokia (1) O-RAN (2) OSPF (7) OTT (52) Openflow (2) Operator CDN (10) P2P (6) PCRF (3) PIM-SM (2) PS-LTE (3) Platform (2) Pooq (3) Privae 5G (1) Private 5G (201) Privatre 5G (1) QoS (18) RCS (5) RRH (1) Railway (1) Request Routing (7) Roaming (1) Router (8) SD-WAN (34) SDN/NFV (162) SIM (1) SK Broadband (5) SK Telecom (124) Samsung (12) Satellite (1) Security (28) Self-Driving (4) Shortest Path Tree (2) Small Cell (7) Spectrum Sharing (3) Switching (6) TAU (7) TPS (13) Transcoding (3) Transparent Caching (17) UHD (15) VLAN (3) VPLS (7) VPN (10) VR (5) Verizon (5) Video Optimization (5) Video Pacing (5) Video Streaming (58) VoLTE (11) VoWiFi (3) WAN Optimization (3) Wholesale CDN (7) Wi-Fi (74) WiBro(WiMAX) (4) Wideband LTE (3) YouTube (36) blockchain (1) eICIC (2) eMBMS (8) ePDG (8) iBeacon (1) security (1) telecoin (1) u+ tv G (5) uCPE (2) 로컬 5G (3) 이음 5G (100) 이음 5G\ (1) 이음5G (3)